초록뱀이앤엠, 1분기 매출·이익 성장…아티스트 활동·F&B 실적 ↑

입력 2023-05-18 09: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종합 콘텐츠미디어 기업 초록뱀미디어의 자회사 초록뱀이앤엠이 올해 1분기 엔데믹 효과로 큰 폭의 실적 개선에 성공한 가운데, 매니지먼트 및 F&B(식음료) 사업을 중심으로 매출 및 이익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18일 밝혔다.

초록뱀이앤엠은 15일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대비 2.43% 상승한 361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7.71% 증가한 22억 원을 달성했으며, 순이익은 9억 원을 기록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별도 기준으로도 1분기 초록뱀이앤엠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0.03%, 23.92% 늘어난 361억 원과 22억 원을 시현했다. 1분기 초록뱀이앤엠의 실적 호조는 엔데믹 이후 소속 아티스트들의 외부 활동이 증가함과 동시에 가수들의 신규 음원 발매 등에 따른 수익 확대 때문이다.

초록뱀이앤엠은 ‘블리스엔터테인먼트’, ‘엘디스토리’ 등 국내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을 흡수 합병하며, 가수부터 연기자, 개그맨까지 다방면의 아티스트들을 확보해 매니지먼트 사업 포트폴리오를 크게 확장했다.

모기업 초록뱀미디어는 지난해 5월 국내 대표 모델 매니지먼트 기업 ‘케이플러스홀딩스’의 지분 43.75%를 확보하며 그룹사 차원에서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초록뱀이앤엠을 포함해 초록뱀그룹에는 현재 약 400여 명이 넘는 아티스트가 활동 중으로, 초록뱀그룹은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2년 넘게 이어오고 있다.

'기획-섭외-제작-유통(방영)-2차 가공'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내재화하고 자체 콘텐츠 생태계를 조성해 지속 가능한 선순환 성장 구조를 구축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초록뱀이앤엠 관계자는 “엔데믹 전환 이후 올해 전국 각지에서 축제와 공연, 콘서트 등 행사문화가 다시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며, 소속 아티스트들의 섭외와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며 “관련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매니지먼트 사업과 신규 사업인 유튜브 향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업 등의 확대로 추가 수익 증가가 예상된다”며 “이 외에도 지난해 편입된 외식사업부가 견조한 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 벚꽃 축제 시작…나들이 가기 전 '꿀팁' 알아볼까? [이슈크래커]
  • '강달러' 숨고르기는 언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경신
  • 국내외 유망 기업서 경험 쌓고 싶다면…‘서울형 청년인턴 직무캠프’ 알아볼까 [경제한줌]
  • 韓대행 헌법재판관 임명에 '격앙'…민주, 재탄핵 카드 꺼내나
  • 나스닥 대신 디지털 금?…트럼프 2.0 시대, 비트코인의 현주소 [블록렌즈]
  • "지금이라도 손절할까요"…테슬라 폭락에 서학개미 '피눈물'
  • 尹, 11일 대통령 관저 퇴거 예정... 아크로비스타로 이동 [포토]
  • 대한항공 기장들도 터진 탄핵 갈등…이번 대선은 '진짜' 극과 극?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257,000
    • +3.51%
    • 이더리움
    • 2,346,000
    • +3.81%
    • 비트코인 캐시
    • 421,000
    • +6.31%
    • 리플
    • 2,911
    • +8.78%
    • 솔라나
    • 165,100
    • +7.63%
    • 에이다
    • 902
    • +9.87%
    • 이오스
    • 1,121
    • +4.09%
    • 트론
    • 352
    • +3.83%
    • 스텔라루멘
    • 353
    • +5.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90
    • +1.85%
    • 체인링크
    • 17,450
    • +6.6%
    • 샌드박스
    • 362
    • +4.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