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헬스, 코로나19 이후 인지도 상승…삼성바이오 가장 알려져

입력 2023-06-1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료기기 삼성메디슨·화장품 LG생활건강 인지도 1위

(사진제공=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사진제공=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코로나19 이후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022년 한국 바이오헬스 산업 해외인식도 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중국·일본·인도·독일 등 19개 국가의 일반 소비자 9120명, 의료계·산업계 전문가 365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27일부터 11월 22일까지 진행했다.

지난해 기준 해외 소비자들은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하는 국가 가운데 한국을 3~7위 수준으로 인식했다. 산업별로는 의약품 분야에서는 13개 국가 중 7위, 의료기기 분야 15개국 중 7위, 화장품 분야 12개국 중 3위, 의료서비스 14개국 중 5위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타 국가 대비 아시아권 국가(몽골,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한국을 바이오헬스 산업 선도 국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바이오헬스 제품 제조국으로서 한국에 대한 인지도는 75.1%로 2021년(71.6%) 대비 3.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일본, 호주, 프랑스에서 인지도가 많이 증가했다. 한국바이오헬스 제품 관련 기업을 알고 있는 응답자 4067명에게 분야별 특정 기업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한 결과, 의약품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의료기기는 삼성메디슨, 화장품은 LG생활건강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왔다.

(사진제공=한국보건산업진흥원)
(사진제공=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을 이용했을 때 82.2%는 한국 제품인 것을 알고 있었다. 나중에 인지했다고 응답한 507명을 대상으로 브랜드 인지 후 인식변화 정도를 물어본 결과 100점 평균 기준 67.2점이었다.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이용 후 전반적인 만족도는 75.3점으로 2021년 대비 0.3점 하락했다. 요인별로는 ‘품질 및 효능’ 만족 의견이 75.8점으로 가장 높았다. K팝, K드라마 등 한국 문화가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구매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도 63.7점으로 나와 아시아 국가에서는 문화 영향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인지도는 ‘강화됐다(48.4%)는 응답이 ’약화됐다(12.0%)’는 응답에 비해 많아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국가에서 강화됐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한동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혁신기획단장은 “바이오헬스산업에서 한·중·일을 비교했을 때 일본이 한국보다 앞서 있고, 중국이 한국을 추격하는 구도를 보인다”라면서 “일본과의 격차는 줄어들고, 중국과의 차이는 더 벌어졌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해외소비자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바이오헬스 제품과 의료 서비스 간 인식도 차이와 원인 등을 지속 분석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139,000
    • +5.07%
    • 이더리움
    • 2,594,000
    • +10.48%
    • 비트코인 캐시
    • 515,500
    • +3.41%
    • 리플
    • 3,267
    • +8.25%
    • 솔라나
    • 218,000
    • +7.65%
    • 에이다
    • 1,013
    • +10.23%
    • 이오스
    • 968
    • +6.14%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91
    • +8.6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050
    • +4.88%
    • 체인링크
    • 21,740
    • +12.24%
    • 샌드박스
    • 429
    • +7.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