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크론, 방산본부 김해공장 확장이전…“방산사업 탄력 기대”

입력 2023-06-19 09: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경남 김해시 테크노밸리에 구축된 웰크론 방산본부 김해 신공장  (자료 = 웰크론)
▲경남 김해시 테크노밸리에 구축된 웰크론 방산본부 김해 신공장 (자료 = 웰크론)

산업용 섬유 전문기업 웰크론은 방산사업을 담당하는 웰크론 방산본부 김해공장의 확장 이전 및 첨단설비 확충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웰크론은 지난 16일 웰크론 김해 신공장에서 웰크론그룹 이영규 회장을 비롯해 웰크론 신정재 사장, 방산본부 이재호 상무, 제조기술센터 김천수 상무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장 이전식을 진행했다.

웰크론은 현재 주력 제품인 기능성 침구 외에 방산본부를 통해 방탄판과 방탄ㆍ방검복, 방탄가방, 방폭텐트 등 다양한 방산 제품을 제조하고 있다. 이 달에는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약 50억 원 규모의 레벨4 방탄판 공급 사업을 수주하는 등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확장 이전으로 경남 김해시 진례면 테크노밸리에 새롭게 구축된 김해 신공장은 총면적 약 9900㎡ 규모로 초대형 프레스 및 오토 클레이브 설비 등을 갖추고 다양한 유형의 방탄판 제조와 개발 양산을 위해 마련됐다. 생산력 강화와 더불어 기존 임대 계약 방식 대신 부지와 건물을 직접 매입함으로써 장기적인 운영비 절감 효과와 함께 우수한 입지를 토대로 영업활동 전반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웰크론은 한국 방위산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신공장을 적극 활용해 군용 선박ㆍ함정, 지뢰방호차량, 장갑차 등에 적용되는 부가장갑 방탄판 개발에 기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같은 방호 등급의 방탄판 대비 더 얇고 무게가 가벼운 개인용 경량방탄판 등 우수한 제품경쟁력을 앞세워 해외 방산시장 공략에도 힘을 실을 예정이다.

웰크론 방산본부 관계자는 “이번 공장 이전은 해외 분쟁지역 증가에 따라 높아진 ‘K-방산’의 위상과 그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공급역량과 신제품 개발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목적”이라며 “국방사업 수주뿐 아니라 해외수출 시장까지 적극적으로 공략해 한국 방산산업의 우수성을 알리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 ‘맨유 이적 임박’ 기사 없으면 유럽파 아니다? [해시태그]
  • 늘어나면 자사주 취득·소각…주가 부양 효과는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유지
  • 단독 영화관 3사 장애인 관람석 300개 이상 줄었다…통계 자료도 미비
  • 부자들이 달라졌다…부동산보다 금ㆍ채권 투자 '주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30,000
    • -0.26%
    • 이더리움
    • 2,308,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468,300
    • -0.99%
    • 리플
    • 3,059
    • -1.23%
    • 솔라나
    • 192,100
    • +2.73%
    • 에이다
    • 894
    • -0.78%
    • 이오스
    • 892
    • +2.53%
    • 트론
    • 361
    • -1.37%
    • 스텔라루멘
    • 345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30
    • -0.02%
    • 체인링크
    • 18,000
    • -0.44%
    • 샌드박스
    • 358
    • -1.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