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농경지 침수위험지도' 만든다…배수개선 사업지 32만㏊로 확대

입력 2023-06-26 14: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식품부 농업생산기반 정비계획 발표…논 타작물 재배 활성화 유도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이 2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2032 농업생산기반 정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이 26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2032 농업생산기반 정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2027년까지 농경지의 침수위험도를 표시하는 지도 제작을 검토한다. 배수 개선 사업도 추진해 논에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2023-2032 농업생산기반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발표했다. 정비계획은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쌀 수급 불균형 해소, 논 타작물 재배 확대, 스마트팜 확산, 디지털화 등 농정 방향 전환과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해 10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먼저 논에 시설원예나 밭작물을 재배하는 복합영농 기반 확충을 위해 다양한 작물이 자랄 수 있도록 밭작물 재배지역 배수개선 대상지를 기존 30만3000㏊에서 32만㏊로 확대한다. 2027년까지는 농경지 침수위험지도를 제작하는 것도 검토한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벼는 일정 기간 물에 잠겨 있어도 잘 자라 반면 하우스나 밭작물 등은 물을 빨리 빼는 배수개선이 필요하다"며 "환경부의 홍수위험지도와 같은 침수위험지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양한 작물 재배를 유도하기 위해 간척지에 쌀 이외의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타작물 재배구역 단지를 올해부터 지정해 운영하고,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첨단영농이 가능한 기반으로 조성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세부 활용계획을 수립한다.

수자원 관리를 데이터 기반으로 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술(ICT)도 접목한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전체 수로 10만4000㎞에 대해 내년까지 디지털 계통도를 구축하고, 93개 지사가 수동 조작하는 수리시설물을 원격으로 제어·관리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관련 시스템을 정비한다.

가뭄과 홍수 등 이상기후 발생이 늘어나고, 저수지 노후화에 대응하는 물 안전 관리 방안도 마련한다. 500만 톤 이상의 대규모 저수지에 대해서는 오는 2025년까지 비상 수문 등을 확충해 치수 능력을 확대하고, 30만 톤 이상 500만 톤 미만의 중·소규모 저수지에 대해서는 2032년까지 치수능력 확대사업을 새로 추진한다.

가뭄 상습지역을 중심으로 저수지와 양수장 등을 설치하고, 기존 저수지 간 수계를 연결해 물 수급 불균형을 해소한다. 또 지진 대응을 위해 2030년까지 내진 보강도 완료할 계획이다.

저수용량이 30만 톤 이상인 저수지뿐 아니라 5만∼30만 톤인 저수지에 대해서도 2031년까지 1회 이상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975개 주요 저수지, 담수호에 대해서는 수질 측정망 조사 횟수를 연 4회에서 7회로 확대한다.

전 식량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정비계획은 쌀 중심에서 논에 다양한 작물재배가 가능하도록 정비하고 스마트팜 등 첨단영농기반을 지원하며 청년농 등 미래농업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세부과제에 대해서는 세부이행계획 수립 및 실적평가를 통해 실행력을 높여 나가고 제도개선, 설계기준 개편, 연구개발(R&D) 강화 등을 통해 추진체계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60,000
    • -0.1%
    • 이더리움
    • 2,294,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495,700
    • +2.59%
    • 리플
    • 2,988
    • -0.37%
    • 솔라나
    • 192,800
    • -0.26%
    • 에이다
    • 893
    • -0.45%
    • 이오스
    • 905
    • +1.46%
    • 트론
    • 352
    • -2.22%
    • 스텔라루멘
    • 352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80
    • +2.66%
    • 체인링크
    • 18,140
    • +0.67%
    • 샌드박스
    • 373
    • +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