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재배면적 12년 만에 '최대'…"밀 산업 육성법·전략작물직불제 영향"

입력 2023-07-07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8259㏊→1만1600㏊ 40.5%↑… 밀 자급률 상승 전망도 나와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 (뉴시스)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 (뉴시스)

밀과 가루쌀 등 이모작을 지원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비롯해 밀산업 육성법 등 정책 영향으로 올해 밀 재배면적이 12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자급률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7일 통계청의 '2023년 맥류·봄감자·사과·배 재배면적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1만1600㏊로 전년 8259㏊에서 40.5%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만3044㏊ 이후 가장 넓은 수준이다.

밀 재배면적은 매년 감소세를 보이면서 2019년에는 3736㏊까지 줄어들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잇따르면서 특히 밀 재배면적이 크게 늘었다.

통계청은 "밀 재배면적 증가 원인으로 전략작물직불제, 밀 산업 육성법 시행에 따른 농업인의 기대가 반영됐다"고 말했다.

올해 처음 도입하는 전략작물직불제는 겨울철 밀, 여름철 콩·가루쌀을 이모작으로 재배하면 1㏊당 직불금 250만 원을 지급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밀 전략작물직불금을 신청한 농가는 6만5572곳, 9041㏊다.

2021년부터 시작한 '밀 산업육성 5개년 계획' 이후 재배면적도 많이 증가했다. 계획 시행 전인 2020년 밀 재배면적 5224㏊와 비교하면 올해 122.1%가 늘어난 수치리다.

이 같은 재배면적 증가에 따라 정부는 밀 자급률이 2021년 1.1%에서 올해 2% 수준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밀과 함께 겉보리 재배면적도 증가했다. 겉보리 재배면적은 지난해 1837㏊에서 39.8% 늘어난 6457㏊로 집계됐다. 겉보리와 밀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전체 맥류 재배면적은 3만6850㏊로 지난해 보다 15.5%가 늘었다.

다만 쌀보리(1만2844㏊)와 맥주보리(5949㏊) 재배면적은 각각 전년보다 1.0%(135㏊), 1.5%(91㏊) 감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070,000
    • -0.3%
    • 이더리움
    • 2,641,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537,500
    • +5.08%
    • 리플
    • 3,303
    • -1.58%
    • 솔라나
    • 214,700
    • -2.36%
    • 에이다
    • 1,029
    • -1.15%
    • 이오스
    • 993
    • +0.81%
    • 트론
    • 357
    • +0%
    • 스텔라루멘
    • 403
    • -3.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750
    • -4.46%
    • 체인링크
    • 21,780
    • +0.88%
    • 샌드박스
    • 434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