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기관들, 2800억 원 규모 홍콩 빌딩 대출 손실 위기

입력 2023-07-16 2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멀티에셋자산운용, 펀드 자산 80~100% 상각 예정
투자자들 90% 안팎 손실 불가피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 국내 투자자들은 이 빌딩에 약 2800억 원을 대출했는데 원금 대부분을 날릴 위기에 놓였다. 연합뉴스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 국내 투자자들은 이 빌딩에 약 2800억 원을 대출했는데 원금 대부분을 날릴 위기에 놓였다. 연합뉴스
국내 금융기관들이 4년 전 홍콩의 한 랜드마크 오피스 빌딩에 빌려준 2800억 원 규모의 대출금을 대부분 돌려받지 못할 위기에 놓였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미래에셋 계열 멀티에셋자산운용은 18일 집합투자재산평가위원회를 열고 홍콩 골딘파이낸셜글로벌센터 빌딩에 대출하기 위해 조성한 펀드 자산의 80∼100%를 상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법인 등 국내 투자자들은 90% 안팎의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미래에셋증권 등 투자자들은 2019년 6월 중순위(메자닌)로 해당 빌딩에 당시 환율 기준 2800억 원을 대출했다.

미래에셋증권이 2500억 원어치의 펀드를 조성해 국내 기관들에 판매했다. 또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등이 자체 자금으로 200억∼400억 원씩을 투자했다. 한국은행 노동조합, 우리은행 초고액 자산가들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펀드 운용은 멀티에셋자산운용이 맡았다.

현지에서 금리가 오르면서 보증을 선 홍콩 억만장자가 파산하고, 빌딩 가격이 급락하자 선순위 대출자인 싱가포르투자청(GIC)과 도이체방크가 권리를 행사해 빌딩을 매각했다. 이에 중순위 등 나머지 투자자들은 지금 회수가 어려워지게 됐다고 연합뉴스는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해당 빌딩은 개발자가 대출에 대한 지불을 하지 못한 후 2020년 채권자들에 압류됐다. 이후 여러 차례 처분을 시도한 끝에 아시아 중심 투자회사인 PAG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부동산 그룹 메이플트리인베스트먼트가 올해 1월 약 56억 홍콩달러(약 9122억 원)에 인수했다. 이는 2020년 9월 매각하려 했던 143억 홍콩달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이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트럼프, 관세전쟁 재시동...“2주 안에 의약품 관세 발표”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푹 쉬었는데 더 피곤”…연휴 증후군 극복하려면 [e건강~쏙]
  • 이재명, 청년 정책 발표…“가상자산 ETF 도입·군 복무경력 호봉 반영”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강남 그 단지 언제 나오나"…대선 앞두고 밀리는 아파트 분양
  • 김문수 “당 지도부, 후보 배제한 채 운영 강행…단일화기구 일방적 통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533,000
    • -0.12%
    • 이더리움
    • 2,571,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09,500
    • -0.39%
    • 리플
    • 3,018
    • -2.2%
    • 솔라나
    • 206,100
    • -1.15%
    • 에이다
    • 944
    • -2.68%
    • 이오스
    • 1,005
    • -0.69%
    • 트론
    • 352
    • -0.85%
    • 스텔라루멘
    • 368
    • -3.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100
    • -1.39%
    • 체인링크
    • 19,370
    • -3.2%
    • 샌드박스
    • 392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