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네타냐후, 이란 동결자금 해제 비난

입력 2023-08-13 17: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핵 프로그램 막지 못하고 테러 자금으로 유입”
WSJ “자금 해제 후 이란 농축 속도 줄여”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예루살렘/AP뉴시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예루살렘/AP뉴시스
미국이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 묶여 있던 이란 자금을 해제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비난했다.

12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실은 성명에서 “이란의 핵 인프라를 해체하지 않은 채 진행된 합의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막을 수 없고 이란이 후원하는 테러분자들에 흘러가는 자금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자국민 5명의 석방 대가로 전 세계에 동결된 이란 자산 수십억 달러를 풀어주기로 했다. 우리나라에도 70억 달러(약 9조 원)가 동결된 것으로 알려졌고 이후 해당 자금은 스위스은행으로 이체됐다. 추후 유로화로 바꾼 뒤 카타르 내 이란 은행 계좌들로 이체될 예정이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자금을 돌려받게 된 이란이 우라늄 농축 속도를 늦추고 비축량 일부를 희석했다고 보도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브리핑에서 “해당 보도를 확인할 순 없지만, 농축 속도를 늦추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환영할 것”이라며 “동결 해제된 자금은 군사 용도가 아닌 식품과 의약품, 의료 장비 용도로만 접근할 수 있고 재무부 의견을 반영해 엄격한 실사와 기준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원전·자동차 관련주 타격 불가피…원화 강세로 외국인 유입 기대”[증시 긴급진단]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 SK하이닉스, 1분기 호실적 기대감 속 올해 '관세' 변수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6,723,000
    • -5.19%
    • 이더리움
    • 2,350,000
    • -11.69%
    • 비트코인 캐시
    • 403,300
    • -9.57%
    • 리플
    • 2,865
    • -9.16%
    • 솔라나
    • 158,300
    • -10.36%
    • 에이다
    • 853
    • -11.79%
    • 이오스
    • 1,105
    • -0.36%
    • 트론
    • 343
    • -2.56%
    • 스텔라루멘
    • 343
    • -7.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680
    • -12.91%
    • 체인링크
    • 16,730
    • -11.11%
    • 샌드박스
    • 346
    • -10.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