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넥슨 신작 게임에 'HDR10+ GAMING' 세계 최초 적용

입력 2023-08-21 09:3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응답 속도와 HDR 모드 자동 전환 등의 편의성 제공
HDR10+ 생태계 확장을 위해 제작 기술 무상 지원

▲삼성전자 모델이 'HDR10+ GAMING' 기술이 적용된 퍼스트 디센던트 게임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 모델이 'HDR10+ GAMING' 기술이 적용된 퍼스트 디센던트 게임 콘텐츠를 체험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는 게이밍 전용 화질 기술인 'HDR10+ GAMING'을 넥슨 신작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에 세계 최초로 적용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게이밍 기술은 게임 콘텐츠의 장면 및 프레임을 분석해 게임의 입체감을 높여준다. 응답 속도와 HDR모드 자동 전환 등의 편의성도 제공한다. 또한, 가변 주사율(Variable Refresh Rate)을 지원해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분석해 최적의 HDR 화질을 구현해준다.

삼성전자는 HDR10+ GAMING 기술을 2022년 이후에 출시된 7시리즈 이상의 오디세이 게이밍 모니터와 120Hz 이상을 지원하는 △QLED 70·80시리즈 △OLED △Neo QLED 등 TV에 적용했다.

넥슨은 삼성전자 HDR10+ GAMING 기술이 적용된 퍼스트 디센던트의 오픈 베타 테스트를 9월 19일 시작한다. 게이머에게 한층 더 실감나는 HDR 게이밍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HDR10+ 생태계 확장을 위해 'HDR10+ 테크놀로지'를 2018년에 설립하고 △HDR10+ 인증 △로고 프로그램 운영 △콘텐츠 제작을 위한 기술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155개 회원사가 7000개 이상의 인증 모델을 출시했다.

김현 넥슨 사업총괄 부사장은 "퍼스트 디센던트에 삼성전자의 뛰어난 화질 기술인 HDR10+ GAMING을 세계 최초로 적용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게임 화질 기술의 발전을 위해 삼성전자와 기술 협업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고화질 영상 표준 기술인 HDR10+ GAMING 기술이 게임 콘텐츠에 첫 상용화가 될 예정"이라며 "앞으로 게임 콘텐츠 업체와도 협업을 통해 게임 및 콘텐츠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HDR10+ GAMING 기술이 적용된 삼성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와 퍼스트 디센던트를 독일 쾰른에서 열리는 '게임스컴 2023(Gamescom 2023)'에서도 선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12: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46,000
    • -0.74%
    • 이더리움
    • 2,371,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6.43%
    • 리플
    • 3,123
    • +0.22%
    • 솔라나
    • 192,700
    • +0.42%
    • 에이다
    • 938
    • -0.32%
    • 이오스
    • 910
    • -5.31%
    • 트론
    • 373
    • +3.9%
    • 스텔라루멘
    • 351
    • -1.1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10
    • -0.21%
    • 체인링크
    • 18,650
    • -1.64%
    • 샌드박스
    • 388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