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준 청년 10명 중 3명만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0년 전보다 해당 청년 비중이 20%포인트(p) 넘게 감소한 것이다.
청년 과반 이상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응답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2022년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19~34세, 기혼자 포함) 비중은 36.4%로 10년 전인 2012년(56.5%)보다 20.1%p 감소했다.
바꿔말하면 결혼에 대해 중립 또는 부정적으로 보는 청년 비중이 2012년 43.5%에서 2022년 63.6%로 확대됐다는 얘기다.
성별로는 남성이 43.8%, 여성은 28.0%로 여성보단 남성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다만 10년 전보다 남성의 해당 비중이 22.3%p 줄었고, 여성 또한 18.9%p 감소했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결혼자금 부족이란 응답이 33.7%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결혼의 필요성을 못 느낌(17.3%)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미혼 남자는 결혼자금 부족(40.9%)이 가장 많으며, 미혼 여자는 결혼자금 부족(26.4%), 결혼 필요성 못 느낌(23.7%)이 절반을 차지했다.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53.5%로 확대됐다. 2018년 46.4%이던 해당 비중은 2020년 50.5%, 2022년 53.5%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여자(65.0%)가 남자(43.3%)보다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2018년과 비교해 각각 10.4%p(여성), 4.6%p(남성) 상승했다.
결혼을 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012년 29.8%에서 2022년에는 39.6%로 확대됐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이 꾸준히 늘고 있는 것이다. 남성(40.2%)가 여성(38.8%)보다 비혼 출산에 대한 동의 비중이 높았다.
청년 10명 중 8명 정도는 비혼 동거에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지난해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p 상승했다.
결혼생활에서 가족 간의 관계보다 부부가 우선시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60.7%로, 10년 전(54.7%)보다 6.0%p 늘었다.
부부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012년 59.7%에서 2022년 84.4%로 확대됐다. 다만 실제로 부부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는 비중은 41.3%에 불과해 생각과 실천에서 큰 괴리를 보였다.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60.7%로 10년 전(52.3%)보다 8.4%p 늘었다.
2021년 기준 청년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이 35.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환경(9.8%) 순이었다. 이중 안전성은 10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10년 전 청년의 선호 직장은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으나,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 순으로 달라졌다.
성별로는 남녀(각각 24.4%ㆍ21.9%) 모두 공기업을 가장 선호했다. 공기업은 안정적인 임금과 정년 보장이란 장점을 가진다. 공기업 다음으로 남성은 국가기관(19.8%)보다 대기업(22.3%)을, 여자는 대기업(18.1%)보다 국가기관(21.9%)을 선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