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엔지니어링, 플랜트·건설 특화 '대화형 AI' 만든다

입력 2023-08-30 11: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9일 현대엔지니어링 본사에서 '플랜트 및 건설 분야 특화 LLM(Large Language Model) 연구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뒤 한대희 현대엔지니어링 스마트기술센터장(왼쪽 여섯 번째)과 최은진 젠티 대표(왼쪽 다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엔지니어링)
▲29일 현대엔지니어링 본사에서 '플랜트 및 건설 분야 특화 LLM(Large Language Model) 연구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한 뒤 한대희 현대엔지니어링 스마트기술센터장(왼쪽 여섯 번째)과 최은진 젠티 대표(왼쪽 다섯 번째) 등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이 플랜트와 건설 분야에 특화된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30일 현대엔지니어링은 전날 인공지능 연구개발 스타트업 젠티와 '플랜트 및 건설 분야 특화 LLM(Large Language Model) 연구 개발'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LLM은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인 챗 GPT의 핵심기술로 인간과 유사한 언어를 처리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 건설 분야의 데이터와 지식 정보를 제공하고 젠티는 AI 언어모델 연구개발을 맡는다. 완성된 LLM을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함께 개발한다.

LLM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간단한 질문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정제된 데이터나 문서 등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용접물량 산출 방법을 알려줘란 질문을 입력하면 "용접물량 산출은 재질별, 용접 타입별로 구분해야 하며~"라는 답변이나 정리된 문서, 기술적 조언이 나오는 방식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LLM이 업무에 적용되면 △정보검색 시간 단축 등 생산성 향상 △보고서, 문서 자동생성 등 업무 효율화 △리스크 분석, 기술적 의사 결정 등 업무지원체계 확립 △임직원 교육 시스템 구축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디지털 전환 및 IT 인프라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며 "LLM 외에도 데이터 자산 등을 바탕으로 각 업무 절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플랫폼을 구상하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850,000
    • -0.69%
    • 이더리움
    • 2,583,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25,000
    • +3.35%
    • 리플
    • 3,226
    • -2.68%
    • 솔라나
    • 210,600
    • -1.31%
    • 에이다
    • 1,002
    • -1.09%
    • 이오스
    • 986
    • -0.8%
    • 트론
    • 352
    • -1.68%
    • 스텔라루멘
    • 399
    • -2.2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250
    • -3.75%
    • 체인링크
    • 21,000
    • -3.05%
    • 샌드박스
    • 428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