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금리 가장 많이 깎아준 곳은 하나은행…수용률은 NH농협 1위

입력 2023-08-31 15: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터넷은행 케이뱅크 17.3%, 토스뱅크 19.8%, 카카오뱅크 29.3% 순

(연합뉴스)
(연합뉴스)

5대 은행 가운데 대출자의 금리 인하 요구를 수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NH농협은행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은 건 당 감면액이 가장 많았다.

은행연합회는 31일 홈페이지 소비자 포털에 작년 하반기 은행별 금리인하 요구권 운영 실적을 비교 공시했다. 금융소비자는 취직·승진·소득증가 등을 근거로 금리를 낮춰 달라고 은행에 인하 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에서는 NH농협은행(68.8%), 우리은행(34.4%),신한은행(26%), KB국민은행(25.6%), 하나은행(18.8.%) 순으로 금리인하 요구권 수용률(수용건수/신청건수)이 높았다.

하나은행은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 금리인하요구권 비대면 신청 프로세스가 정착되었고, 신용위험이 없는 담보대출의 신청이 증가하면서 작년 하반기(4만1633건) 대비 금리인하 신청건수(6만5948건)가 대폭 증가(58%)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용률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전체 중에서는KDB산업은행의 수용률이 88.4%로 가장 높았고, 제주은행이 12.9%로 최저였다.

인터넷은행 중에서는 케이뱅크(17.3%)의 수용률이 가장 낮았다. 이어 토스뱅크(19.8%), 카카오뱅크(29.3%) 순 이었다.

가계대출 금리 평균 인하 폭은 신한은행(0.39%p), 하나은행(0.32%p), NH농협은행(0.30%p), KB국민은행(0.15%p), 우리은행(0.11%p) 순이었다.

공시된 총 이자 감면액을 금리인하 요구 수용 건수로 나눈 결과, 건당 감면액은 하나은행이 19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신한은행(15만6000원), NH농협은행(8만7000원), KB국민은행(6만4000원), 우리은행(6만3000원)이 뒤를 이었다.

하나은행은 “4대은행 중 가장 높은 당행의 건당감면액은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차주들에게 실질적으로 체감 가능한 이자부담을 덜어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13:3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80,000
    • +0.06%
    • 이더리움
    • 2,374,000
    • +1.37%
    • 비트코인 캐시
    • 508,500
    • +3.67%
    • 리플
    • 3,117
    • -0.1%
    • 솔라나
    • 193,700
    • +1.57%
    • 에이다
    • 943
    • +0.64%
    • 이오스
    • 900
    • -5.76%
    • 트론
    • 373
    • +3.9%
    • 스텔라루멘
    • 351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0.64%
    • 체인링크
    • 18,630
    • -0.96%
    • 샌드박스
    • 392
    • +2.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