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여름 성수기 여행 수요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

입력 2023-09-01 09: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야놀자, 숙소 거래액 국내 135%·해외 401% 신장

(사진제공=야놀자)
(사진제공=야놀자)

국내외 여름 성수기 여행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야놀자가 7~8월 야놀자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국내 숙소 거래액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다.

숙소 유형별로는 글램핑 및 카라반 등 야외형 숙소가 543%, 풀빌라가 281% 신장하며 펜션 카테고리(93%)가 2019년 대비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지역별 신장률은 충청남도(96%), 강원특별자치도(95%), 경상남도(89%), 경상북도(89%) 순이다.

해외 숙소 거래액은 2019년 대비 401%, 예약 건수는 285% 성장하며 급증했다. 국가별 예약 비중은 일본(61%), 베트남(14%), 태국(6%) 순으로 과반수가 일본에 집중됐다. 2019년과 비교하면 괌이 565%로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고, 싱가포르(536%), 일본(452%), 태국(270%)이 뒤를 이어 근거리 여행지가 강세를 보였다.

글로벌 항공 서비스 기준 국내선 인기 취항지는 제주가 44%로 1위를 차지했고, 서울(31%), 부산(10%), 청주(6%), 광주(4%)가 뒤를 이었다. 국제선은 오사카(34%), 후쿠오카(23%), 도쿄(16%) 순으로, 일본(78%)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태국(8%), 베트남(6%), 필리핀(2%)이 뒤를 이어 장거리 노선 회복세가 더딘 가운데 동남아시아와 일본 지역 인기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레저 이용 건수는 엔데믹 이후 여가활동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며 2019년 대비 97% 성장했다. 레저 유형별로는 스파·워터파크가 42%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테마파크(32%), 공연·전시(9%)가 순위에 올랐다.

야놀자 관계자는 “엔데믹 후 첫 여름 성수기를 맞아 여가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국내와 해외여행 모두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넘어섰다”면서 “국내는 지역 여행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프로젝트의 결과로 충청도, 경상도 등의 성장이 눈에 띄었고, 해외는 고물가·고환율 여파로 근거리 여행지가 강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 지방 금융 3사, ‘지역 기업 리스크’에 1분기 실적 희비 교차
  • [날씨] '대구 낮 최고 29도' 초여름 날씨…일부 지역 일교차 15도 이상
  • 글로벌 보폭 넓히는 K조선…삼성重, 베트남·인니 조선소 협력 검토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50,000
    • +0.52%
    • 이더리움
    • 2,287,000
    • -0.13%
    • 비트코인 캐시
    • 482,000
    • +2.95%
    • 리플
    • 2,989
    • -1.26%
    • 솔라나
    • 194,600
    • +1.94%
    • 에이다
    • 891
    • +0.56%
    • 이오스
    • 901
    • +3.92%
    • 트론
    • 358
    • -0.28%
    • 스텔라루멘
    • 346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20
    • +1.18%
    • 체인링크
    • 18,100
    • +0.95%
    • 샌드박스
    • 358
    • +1.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