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운전자 경험’ 바꿀 모빌리티 기술 콘셉트 공개

입력 2023-09-10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G전자가 '모빌리티 랩웍스 시리즈'로 공개한 차량용 차세대 디스플레이 3종 이미지.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모빌리티 랩웍스 시리즈'로 공개한 차량용 차세대 디스플레이 3종 이미지. (사진제공=LG전자)

LG전자가 고객들의 운전자 경험을 바꿀 모빌리티 선행 기술 콘셉트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전장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모빌리티 랩웍스 시리즈’라는 신규 카테고리를 생성했다. 이곳에서 기존에 공개된 적 없는 차량용 차세대 디스플레이 3종과 디지털 콕핏 2종을 선보였다.

LG전자가 이번에 공개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3종은 롤러블, 플렉서블, 폴더블 등 다양한 폼팩터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돼 있다.

‘민&맥스 디스플레이’는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CID), 보조석디스플레이(CDD) 등 3개의 화면이 하나로 통합된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디스플레이가 L자 구조로 구부러져 사용자가 상황과 용도에 따라 넓은 면과 좁은 면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팝&폴드 디스플레이’는 3개의 디스플레이가 대시보드에 숨어있다가 사용자가 원할 때 노출되는 형태다. 가운데에는 폴더블 P-OLED 기술을 활용한 18인치 중앙정보디스플레이가 있고 양쪽에 90도로 회전하는 2개의 디스플레이가 각각 계기판과 보조석디스플레이로 활용된다.

‘플렉스&슬라이드 디스플레이’는 고객의 상황이나 재생되는 콘텐츠에 맞춰 화면의 휘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부리지 않은 전체 화면은 영상 콘텐츠 시청이나 내비게이션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면을 구부려 아래는 키보드, 위는 검색 화면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LG전자가 함께 공개한 디지털 콕핏 2종 콘셉트엔 디스플레이, 커넥티비티,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 등 여러 혁신 기술이 적용됐다.

이준배 LG전자 VS사업본부 영업·마케팅담당은 “모빌리티 랩웍스 시리즈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LG전자만의 미래 전장 기술력을 지속 선보이며 소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 '나는 솔로' 25기, 두 커플 탄생했지만…처참한 라이브 분위기, 현커 여부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680,000
    • -1.31%
    • 이더리움
    • 2,533,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516,500
    • +0.29%
    • 리플
    • 3,100
    • -3.88%
    • 솔라나
    • 212,200
    • -2.08%
    • 에이다
    • 979
    • -2%
    • 이오스
    • 923
    • -4.25%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377
    • -2.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50
    • -1.8%
    • 체인링크
    • 20,640
    • -1.57%
    • 샌드박스
    • 411
    • -3.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