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여야정 3자회동 제안...민생 정치 회복 위해 대통령 나서야”

입력 2023-10-23 10: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 등을 요구하며 국회에서 단식 농성을 하다 지난달 18일 건강이 악화해 병원에 실려 간 지 35일 만에 당무에 복귀했다. 오른쪽은 홍익표 원내대표.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 등을 요구하며 국회에서 단식 농성을 하다 지난달 18일 건강이 악화해 병원에 실려 간 지 35일 만에 당무에 복귀했다. 오른쪽은 홍익표 원내대표. 고이란 기자 photoeran@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3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의 여야 대표회담 제안에 “여야정, 대통령과 여당, 야당 대표 3자 대동을 제안한다”고 답했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상황은 민생이 굉장히 어렵다”며 “그동안 정부와 여당의 야당 무시가 상당히 심했던, 정치가 실종된 상황에서 정치가 복원돼야 하는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민생 정치 복원을 위해 나서야 할 때라고 보는 게 민주당의 기본적인 입장”이라며 “경제회복과 민생 챙기기를 위해서 여야가 대통령과 여당, 야당 대표 3자 회동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또 이 대표가 이날 공개 최고위원회의 모두발언에서 ‘내각 총사퇴’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 “전면적인 국정 쇄신을 하는 그런 각오로 민생을 책임지라는 강조의 의미라고 봐주시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권 수석대변인은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이후 민생을 더 살피겠다, 국민의 뜻대로 하겠다, 반성하겠다는 얘기들이 정부·여당에서 많이 나왔다”며 “그런 언급들이 말로만 그칠 게 아니라 진정성 있게 정부, 정책 집행 과정에서 나타나길 촉구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주시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가결파 징계에 대해서는 “실무적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검토 의견에 따라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만 답했다.

양자회담을 거절한 것인지에 관해서는 “3자 회동을 제안한 것”이라고만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700,000
    • +0.03%
    • 이더리움
    • 2,644,000
    • +2.32%
    • 비트코인 캐시
    • 513,000
    • -4.74%
    • 리플
    • 3,170
    • +0.6%
    • 솔라나
    • 216,000
    • -1.1%
    • 에이다
    • 1,024
    • -0.97%
    • 이오스
    • 989
    • +0%
    • 트론
    • 366
    • +4.57%
    • 스텔라루멘
    • 424
    • +3.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300
    • -7.24%
    • 체인링크
    • 21,540
    • -0.28%
    • 샌드박스
    • 450
    • +1.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