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 물품·수감자 구성 놓고 신경전도
바이든 “휴전 연장 기대”
25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하마스가 이스라엘인 인질 13명과 태국인 인질 4명 등 총 17명을 석방했다고 발표했다.
애초 하마스는 외국인 인질 7명 등 20명을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 보냈다고 밝혔지만, 중재국인 카타르와 이스라엘은 17명이 도착했다고 알렸다.
하마스의 인질 석방을 확인한 이스라엘도 팔레스타인 수감자 39명을 내보냈다. 1차 교환 때 인질 24명과 수감자 39명을 교환한 양측은 이번에도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
둘째 날엔 이스라엘이 약속한 구호 물량을 다 보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하마스가 석방을 연기했고 이 과정에서 양측이 수 시간 대치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하마스는 첫날 석방된 팔레스타인 수감자 중 오랜 기간 수감된 자들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도 불만 사항으로 제기했다. 신경전은 다행히 오래가지 않았고 맞교환도 재개했다.
관련 뉴스
앞서 양측은 나흘간의 휴전에 합의하고 총 인질 50명과 수감자 150명을 교환하기로 했다. 교환 대상자는 모두 여성과 미성년자이며, 예정대로라면 27일까지 교환은 이어진다.
휴전이 연장될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하루 10명의 인질을 추가로 석방할 때마다 휴전도 하루씩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휴전을 중재하는 미국도 이를 바라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휴전 연장과 관련해 현실적인 기회가 있다”며 “이것이 실현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아랍 국가들과 함께 이 사태를 늦추고 최대한 빨리 종식하도록 압박하려는 것이 나의 희망”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하마스를 제거하는 것은 이스라엘의 합법적인 임무로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휴전 연장에 딴지를 걸었다. 그는 트루스소셜에 “하마스가 다른 국적자는 돌려보냈지만, 미국인 인질은 한 명도 돌려보내지 않았다”며 “이는 미국의 리더십에 대한 존중이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나아가 “이제 하마스는 더 나은 인질 거래를 요구할 것”이라며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인질 거래는 좋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