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제품 라인업 다각화

입력 2023-11-30 11: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H2-PEMFC’ 시스템 개발

▲건물ㆍ주택용 수소연료전지 ‘H2-PEMFC’ 시스템. (사진제공=두산)
▲건물ㆍ주택용 수소연료전지 ‘H2-PEMFC’ 시스템. (사진제공=두산)

두산이 수소연료전지 제품 라인업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두산은 1킬로와트(㎾)ㆍ10㎾급 건물ㆍ주택용 수소연료전지 ‘H2-PEMFC(고분자전해질형연료전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H2-PEMFC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개질하는 방식이 아니라 수소연료를 직접 투입하는 순수소 모델이다. 50~55% 수준의 높은 전기효율을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타입의 수소연료전지 보다 저온에서 작동하는 만큼 부하의 변동에 대응해 발전량을 조정하는 부하추종운전이 빠르다.

1㎾ㆍ10㎾급 시스템은 1기 수소 시범도시 중 하나인 삼척시 수소타운에 적용돼 2024년까지 실증하고, 소규모 분산 발전용 100㎾급 시스템도 2026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고정형 연료전지 안전기준 ‘KGS AH371’의 설계 및 생산단계 인증도 획득했다.

두산은 최근 H2-PEMFC 시스템을 활용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암모니아 추출 수소 연계 수소연료전지 운전 실증’에 성공했다.

국내 최초로 암모니아에서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기 핵심기술 확보에 성공한 정운호 에기연 수소연구단 박사 연구팀과 협업해 이번 실증을 진행했다. 실증 결과 암모니아에서 추출한 수소를 연료로 투입했을 때 일반적인 고순도 수소와 동등한 수준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암모니아는 수소와 질소만으로 이뤄진 무탄소 연료로 상온에서 고압으로 쉽게 액화할 수 있어 액화 수소보다 저장 및 운반에 유리하다. 액화 암모니아는 단위 부피당 수소저장밀도가 액화 수소보다 약 1.7배 높아서 대용량 저장도 가능해 다가오는 수소 시대의 중요한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빌리티용 수소연료전지도 개발 중이다.

두산은 지난해부터 두산밥캣의 세계 시장점유율 1위 스키드로더에 적용하기 위한 ‘건설기계용 60㎾급 수소연료전지 파워팩’을 개발하고 있다. 2026년까지 개발 및 실증을 완료할 계획이다. 그 이후에는 100㎾~200㎾급 선박용 수소연료전지 개발도 추진한다.

선박은 탈탄소 규제가 가장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분야로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까지 선박 분야 탄소 저감 목표를 50%에서 100%로 최근 상향 조정했다. 수소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두산은 중소형 선박을 중심으로 전기 효율이 높고, 부하추종운전이 우수한 선박용 H2-PEMFC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산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무탄소 수소에너지의 대량 생산, 저장, 운송 기술의 개발과 실증이 본격화하고 있으며, 수년 내 순수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시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며 “두산은 건물용 수소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융·복합지원사업 외에도 분산 발전, 모빌리티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도 4%대 폭락…사이드카 발동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유력…내일 국무회의서 확정ㆍ공고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11: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717,000
    • -4.38%
    • 이더리움
    • 2,366,000
    • -11.32%
    • 비트코인 캐시
    • 410,000
    • -7.6%
    • 리플
    • 2,853
    • -9.63%
    • 솔라나
    • 158,200
    • -10.72%
    • 에이다
    • 858
    • -10.53%
    • 이오스
    • 1,069
    • -3.08%
    • 트론
    • 344
    • -1.43%
    • 스텔라루멘
    • 337
    • -9.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70
    • -10.81%
    • 체인링크
    • 16,900
    • -10.82%
    • 샌드박스
    • 352
    • -8.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