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현택 한국스마트해양학회장 “인천 해저상도시 현재 기술로 건설 가능…신속 추진해야”

입력 2023-12-01 16: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스마트해양학회 회장을 맡은 임현택<사진> 국민대 특임교수는 한국해운항만학술단체협의회 제8회 국제공동학술대획에서 인천 해저상도시(Incheon UnderUpwater City) 건설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인천해저상도시 건설로 우리나라가 능동적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인천이 베네치아를 능가하는 세계적인 해양관광지가 될 수 있으며,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도 인천 해저상도시 건설이 가능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임 교수는 2021년 인천의 해양문화를 분석한 후 미래 아젠다로 ‘인천해저도시로 가자’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학계와 지역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인천 해저상도시는 인천 내항 바다 60만 평 규모에 AI, IoT, VR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38개의 스마트 빌딩과 섬을 해저 3~4층, 해상 9~11층 규모로 짓는 사업이다. 이들 38개의 건물과 섬은 해저ㆍ해상통로로 연결돼 행정, 주거, 쇼핑, 생산, 교육, 스포츠 등 경제문화 활동이 바닷속과 해상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인구 5만 명이 사는 도시 개념이다.

이번 학술발표에서 임 교수는 ‘인천 해저상도시 건설의 의미와 경제적 효과’를 주로 설명했다. 임 교수는 단지 용어를 인천해저도시에서 인천해저상도시로 바꾼 이유에 대해 “2년 반 동안 인천해저도시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국민이 바닷속에서 사는 거로 착각해 먼 미래의 일로 받아들였다. 이 때문에 조속한 프로젝트 추진력 확보가 어려웠다”고 말했다.

인천 해저상도시는 하나의 건물이 해수면 아래인 해저에 3층 정도가 들어서고, 해수면 위로 9-11층 높이의 건물을 이용한다. 이에 해저가 아닌 해저와 해상을 동시에 이용하는 건물이다. 그는 인천 내항은 갑문으로 막혀있어 파도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하고 수심도 약 14m 정도여서 현재 수중건설 기술로도 충분히 건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해저상도시가 만들어지면 연 3224만 명의 관광객 유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한 경제적 효과는 18조 원, 약 8만10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됐다. 건설비용은 약 7조8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733,000
    • -0.6%
    • 이더리움
    • 2,537,000
    • -1.74%
    • 비트코인 캐시
    • 506,500
    • -2.41%
    • 리플
    • 3,169
    • -1.25%
    • 솔라나
    • 216,500
    • -0.69%
    • 에이다
    • 1,054
    • +4.05%
    • 이오스
    • 975
    • +1.35%
    • 트론
    • 355
    • +0.57%
    • 스텔라루멘
    • 400
    • +3.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80
    • -0.16%
    • 체인링크
    • 21,550
    • +0.89%
    • 샌드박스
    • 429
    • +0.2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