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는 ‘빈익빈 부익부’…상품·운용사 모두 ‘쏠림’ 현상↑[ETF가 온다②]

입력 2023-12-12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운용사별 ETF시장 점유율
▲운용사별 ETF시장 점유율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120조 원대로 덩치가 커졌다. 하지만,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쏠림현상이다. 거래량이 매우 적어 유동성이 적어 일명 ‘좀비 ETF’라 불리는 종목이 다수인데다 운용사 별 쏠림 경향도 커 소수 운용사가 대다수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100조 시대 열렸지만…난립하는 좀비·자투리 ETF =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11월까지 일평균 거래액이 500만 원 이하인 ETF 종목은 45개로 전체 803개 종목의 5.6%를 차지한다. 이 기간 ETF 종목별 일평균 거래액은 44억700만 원이다. 해당 종목들은 평균 치의 0.1% 수준으로 거래된 셈이다.

같은 기간 거래액 상위 50개 종목의 일평균 거래액은 480억 원으로, 평균 거래액의 10배를 넘어선다.

올해 1~11월 ETF 전 종목 거래대금은 66조6870억 원, 같은 기간 거래대금 상위 50개 ETF의 거래대금 총합은 54조2350억 원으로, 총 거래대금의 81%를 상위 50개 종목이 빨아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11월 말 기준 순자산총액이 50억 원이 넘지 않는 ETF 종목은 82개로 전체 ETF의 10.2% 수준이다. 전체 ETF 803개 종목의 평균 순자산총액은 1512억 원이다.

거래량이 적은 초저유동성 종목은 호가가 실제 가치와 동떨어질 가능성이 커져 기존 투자자가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에 거래소는 순자산이 50억 원 미만이거나 6개월간 일 평균 거래액이 500만원 미만인 ‘자투리 ETF’를 관리종목으로 지정하고 6개월간 요건을 벗어나지 못하면 상장폐지한다. 올해 해당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나온 ETF 상장폐지 사유 발생 공시는 37건이다.

◇ 점유율 1, 2위가 양분하는 ETF 시장…수익성 고민 커져 = 운용사별 격차도 크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11월 30일 기준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ETF 규모는 각각 49조6765억 원, 45조5478억 원으로 전체 ETF 규모 121조4286억 원 중 78.42%를 점유 중이다.

운용 규모 3위인 KB자산운용은 9조1826억 원, 4위 한국투자신탁운용은 5조5661억 원으로 각각 전체 규모의 7.56%, 4.58% 비중을 차지하는 데 그쳤다. 삼성운용과 미래에셋운용의 2강 체제가 견고한 상황이다.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중소형 운용사들의 순자산 규모도 함께 늘었지만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운용보수 인하 경쟁이 이어지면서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자산운용업계관계자는 “저보수를 표방하는 ETF 성격상 수익성 확대를 위해서는 ETF 시장 내 점유율 확대가 필요하다”며 “점유율 경쟁이 격화하면서 ETF 운용보수 인하가 이어지는 등 수익성 악화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최근 운용사들은 ETF 브랜드 이름 변경 등을 검토하는 등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KB운용(브랜드명 KBSTAR)은 관련 사내 공모전을 진행했고, 한화자산운용(ARIRANG), 키움자산운용(KOSEF), NH아문디자산운용(HANARO) 등도 ETF 브랜드명 교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159,000
    • +1.91%
    • 이더리움
    • 2,561,000
    • +1.27%
    • 비트코인 캐시
    • 533,500
    • +6.49%
    • 리플
    • 3,164
    • +1.38%
    • 솔라나
    • 221,300
    • +3.56%
    • 에이다
    • 1,032
    • +2.79%
    • 이오스
    • 974
    • +4.28%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408
    • +5.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00
    • +30.32%
    • 체인링크
    • 21,630
    • +3.89%
    • 샌드박스
    • 440
    • +4.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