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주담대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140억원 절감

입력 2023-12-15 09: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객 1만 명 이상 혜택..."금융비용 부담 완화"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정책을 통해 고객들이 140억 원 규모의 중도상환해약금을 절감했다고 15일 밝혔다.

2022년 2월 주택담보대출을 출시한 이후 올해 11월까지 1만 명이 넘는 고객들이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혜택을 받았다. 고객 한 명당 약 132만 원의 해약금을 절감한 셈이다.

중도상환해약금은 대출 상환일이 도래하기 전에 고객이 대출을 상환할 경우 부과되는 비용을 뜻한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가계대출 기준 국내 은행의 중도상환해약금 수수료율은 0.5~2.0% 수준이다. 통상 대출취급일로부터 3년까지 적용되며 빠르게 갚을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적용된다.

약정기간을 채우지 않고 대출을 갚게 되면 은행 입장에서는 자금 관리에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마련한 장치다. 고객 입장에서는 금리가 낮은 다른 대출을 찾았거나 여유 자금이 생기더라도 쉽게 상환을 할 수 없는 문턱이기도 하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금액이 억 단위로 큰 대출인만큼 중도상환해약금 부담이 적지 않은 대출이다. 가령, 30년 만기로 5억 원을 빌린 고객이 1년 만에 상환하고자 할 때, 통상적으로 부과되는 1.2%의 수수료율을 적용하면 연 400만 원 수준의 중도상환해약금을 부담해야 한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7월 출범한 이후 모든 대출에 대해 중도상환해약금을 받지 않고 있다. 출범 이후 지난 11월까지 절감한 모든 대출에 대한 중도상환해약금 금액은 약 13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주택담보대출에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금융권에서 카카오뱅크가 유일하다.

카카오뱅크는 내년 6월까지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정책을 연장 운영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금리인상기에 고객의 부담을 완화하고 더 좋은 혜택을 담은 상품을 선보이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400% 급등 후 98% 급락…증시 불확실성 속 급등락주 주의보 발령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729,000
    • +3.23%
    • 이더리움
    • 2,357,000
    • +5.55%
    • 비트코인 캐시
    • 439,800
    • +6.23%
    • 리플
    • 2,942
    • +6.79%
    • 솔라나
    • 169,500
    • +5.08%
    • 에이다
    • 917
    • +5.89%
    • 이오스
    • 992
    • -2.65%
    • 트론
    • 356
    • +2.89%
    • 스텔라루멘
    • 346
    • +2.9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90
    • +5.16%
    • 체인링크
    • 18,230
    • +5.8%
    • 샌드박스
    • 375
    • +3.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