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양곡 40만 톤 사료용 처분…"쌀값 안정시키고 비용 줄일 것"

입력 2023-12-28 15: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고량 80만 톤 초과 상황…보관비 372억 원 줄여

▲4일 경기도 용인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저온저장고에서 관계자가 보관 중인 쌀을 살펴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초과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도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 법률안 거부권(재의요구권)을 이날 행사했다. (용인=연합뉴스)
▲4일 경기도 용인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저온저장고에서 관계자가 보관 중인 쌀을 살펴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초과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도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 법률안 거부권(재의요구권)을 이날 행사했다. (용인=연합뉴스)

정부가 보관 중인 양곡 40만 톤을 사료용으로 처분한다. 이에 따라 쌀값을 안정시키고 보관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양곡 재고를 줄이고 쌀값 안정을 위해 내년 1월부터 총 40만 톤의 정부양곡을 사료용으로 처분한다고 28일 밝혔다.

정부양곡 재고량은 2021년산 및 2022년산을 시장 격리하면서 11월 기준 169만 톤에 달한다. 적정 수준은 80~100만 톤으로 보관 비용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2023년 하반기에 시중 유통되고 있는 쌀과 경합이 없는 사료용으로 정부양곡 7만 톤을 처분한 데 이어 내년에는 40만 톤으로 처분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처분 물량은 시장 격리 물량 등 정부 재고 상황을 고려해 국산곡을 중심으로 추진하되 용도외 사용 등 부정유출 방지를 위해 파쇄해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내년에 사료용 등 정부양곡 처분물량을 120만 톤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양곡 처분에 따라 보관비용은 연간 약 372억 원을 줄이고, 사료용 수입원료(옥수수) 대체에 따른 1억700만 달러 절감, 정부 과잉재고 해소로 쌀값 안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한영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사료 관련 협회 등 유관기관과 세부 사항에 대한 논의를 거쳐 내년 1월부터 정부양곡 사료용 처분을 실시할 것"이라며 "지자체, 농산물품질관리원 및 유관기관과 합동 점검을 통해 사료용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한덕수, 총리서 대선주자로...빅텐트 성사·대선 완주 '관건'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5개 재판 중 첫 대법 판단…대통령 당선 땐 재판 멈출까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496,000
    • +1.74%
    • 이더리움
    • 2,660,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534,000
    • +1.71%
    • 리플
    • 3,220
    • +1.61%
    • 솔라나
    • 218,600
    • +4.14%
    • 에이다
    • 1,016
    • +2.32%
    • 이오스
    • 982
    • +0.41%
    • 트론
    • 359
    • +1.7%
    • 스텔라루멘
    • 401
    • +1.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100
    • +2.7%
    • 체인링크
    • 21,480
    • +4.17%
    • 샌드박스
    • 436
    • +3.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