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총선 ‘정부·여당 견제’ 50%…조사 이래 최대 격차

입력 2024-01-11 15: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NBS
▲출처=NBS
제22대 총선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11일 ‘정부·여당 견제론’이 지원론을 크게 앞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8~10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1월2주차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4월 총선에서 ‘국정운영을 더 잘하도록 정부와 여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은 직전 조사(12월 3주차) 대비 4%포인트(p) 하락한 39%로 나타났다.

‘정부와 여당을 견제할 수 있도록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5%p 오른 50%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5월 22대 총선 관련 여론조사가 실시된 이래 최대 격차다. 70세 이상에서는 ‘정부·여당 지원’이, 60세 이하에서는 ‘정부·여당 견제’가 우세했다. 중도층에서는 ‘정부·여당 지원’이 32%, ‘정부·여당 견제’가 57%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는 직전 조사 대비 1%p 하락한 32%로 나타났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2%p 상승한 61%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운영 방향성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33%,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60%다.

정당지지도 조사는 더불어민주당 33%, 국민의힘 30%, 정의당 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직전 조사 대비 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동률을 기록했다.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대해선 ‘잘한 결정’ 23%, ‘잘못한 결정’ 65%로 나타났다.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 특검법 거부권 행사는 ‘잘한 결정’ 18%, ‘잘못한 결정’ 64%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5.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덮친 상호관세 쇼크…1년5개월만 2300선 붕괴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 수돗물이냐 생수냐, 긁히는 라면물 논쟁 [요즘, 이거]
  • 中화웨이 AI 칩 열어보니 TSMC 반도체…미국 상무부, 10억 달러 벌금 검토
  • ‘권한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법’, 법사위 통과
  • ‘T의 위협‘ 韓 기간산업 뿌리째 흔든다 [상호관세 발효]
  • 쿠팡 쇼핑 즐긴다면…‘실시간 가격변동 알리미’ 앱으로 알뜰 쇼핑 하세요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890,000
    • -3.11%
    • 이더리움
    • 2,194,000
    • -6.76%
    • 비트코인 캐시
    • 407,400
    • -2.44%
    • 리플
    • 2,709
    • -4.85%
    • 솔라나
    • 157,900
    • -3.72%
    • 에이다
    • 846
    • -4.41%
    • 이오스
    • 994
    • -8.89%
    • 트론
    • 344
    • -1.99%
    • 스텔라루멘
    • 328
    • -4.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010
    • -2.84%
    • 체인링크
    • 16,900
    • -1.97%
    • 샌드박스
    • 358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