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X하우시스·KCC의 해외진출 전략…현재 성적표는?

입력 2024-02-04 14: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사, 지난해부터 해외 공략 적극 나서
LX하우시스 영업익 급증하며 ‘합격점’
KCC는 아직까진 성과 나오지 않아
업계 “결국 해외 진출 타진이 옳은 방향”

▲LX하우시스의 엔지니어드 스톤 제품 '비아테라 칼라카타' 컬렉션. (사진제공=LX하우시스)
▲LX하우시스의 엔지니어드 스톤 제품 '비아테라 칼라카타' 컬렉션. (사진제공=LX하우시스)

지난해 국내 건자재 기업들의 실적이 해외 진출 여부에 엇갈렸다.

국내 시장이 부동산 침체, 경기 악화 등으로 부진한 가운데 해외 진출에 적극적이던 LX하우시스가 돋보이는 실적을 기록했다. 장기적으로는 해외 시장 공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4일 건자재 업계에 따르면 LX하우시스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조5258억 원, 109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2.4%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635.1% 급증한 수치다. 당기순이익 역시 618억 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LX하우시스의 연간 영업이익이 1000억 원을 넘어선 것은 2017년(1330억 원) 이후 6년 만이다. 매출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해외 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한 전략의 성과가 나온 것이란 평가다.

LX하우시스는 지난해 멕시코 법인을 신설하고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 지역에 자사 제품 전문 쇼룸을 새롭게 오픈하는 등 해외 고객 확보에 적극 나섰다. 국내 부동산 경기가 침체하며 새로운 돌파구 마련에 힘을 쏟은 것이다.

KCC 역시 LX하우시스와 마찬가지로 국내 경기 침체에 맞서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렸지만, 아직은 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KCC는 지난해 10월 미국 텍사스 댈러스에 ‘미국 리피니시 컬러센터’를 설립했는데, 이는 KCC가 해외에 설립한 첫 자동차 보수용 페인트 센터다. KCC는 해당 센터를 거점으로 해 미국, 남미, 캐나다 등으로 시장 확대에 나선다는 전략을 수립한 상태다.

동남아시아로 공략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엔 말레이시아 현지 법인(KCM)의 주요 파트너 27개사, 70여 명을 KCC 본사로 초청해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워크숍을 진행했다.

증권가에 따르면 KCC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6조2616억 원, 32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7%, 36%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실리콘 부문 이익 급감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다만, 해외 진출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면 실적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양사의 성적표는 엇갈린 상황이지만, 업계에서는 해외 시장에 계속해서 적극 뛰어드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옳은 방향이라고 예상한다.

업계 관계자는 “건자재 업체들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문제일 뿐 결국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설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는 해외에서 현지화에 성공하는 것이 건자재 업체들이 살아남고 성장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57,000
    • -4.96%
    • 이더리움
    • 2,653,000
    • -5.75%
    • 비트코인 캐시
    • 439,300
    • -4.79%
    • 리플
    • 2,984
    • -7.16%
    • 솔라나
    • 170,000
    • -12.46%
    • 에이다
    • 937
    • -9.03%
    • 이오스
    • 1,225
    • -1.53%
    • 트론
    • 349
    • -0.57%
    • 스텔라루멘
    • 378
    • -6.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50
    • -7.28%
    • 체인링크
    • 18,650
    • -10.25%
    • 샌드박스
    • 385
    • -6.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