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끝나면 찾아오는 불청객 ‘명절 후유증’[e건강~쏙]

입력 2024-02-12 07: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휴 끝나고 정신적‧신체적 후유증 찾아와

‘건강을 잃고서야 비로소 건강의 소중함을 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하게 사는 것만큼 소중한 것은 없다는 의미입니다. 국내 의료진과 함께하는 ‘이투데이 건강~쏙(e건강~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알찬 건강정보를 소개합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설 연휴 마지막 날. 일상에 복귀할 생각에 눈앞이 캄캄하고 가슴이 답답하다. 실제 연휴가 끝난 후 일이 손에 잡히지 않고 피곤하고 멍한 느낌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처럼 명절을 보낸 후 겪는 정신적‧신체적 부작용을 ‘명절 후유증’이라고 한다.

명절에는 수면 패턴이나 식습관 등의 바이오리듬이 바뀐다. 또 장시간 운전, 집안일 등으로 관절과 근육에 피로가 누적되기 쉽다. 하루 이틀이면 괜찮겠지만 며칠간 이러한 패턴으로 보내다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

대부분은 하루 이틀, 길어도 1~2주면 회복되지만 심한 경우 몇 주 동안 후유증을 앓기도 한다. 이를 방치하면 만성피로,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명절 후유증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휴식이 가장 중요하다. 연휴 마지막 날 과음하거나 늦게 귀가하는 것보다 휴식을 취하며 다음 날 복귀할 일상을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휴 중에도 피로를 풀어주는 노력을 해야 한다. 스트레칭과 간단한 체조로 육체 피로를 풀어야 한다.

선우성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3일 "명절을 마치고 직장에 복귀한 뒤 1주일 정도는 늦은 술자리는 피하고 생체 리듬을 되찾도록 해야 한다"며 "명절 후유증을 방치하면 업무 능력 저하, 사고 유발 등으로 악화될 수도 있어 조기에 극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충분한 수면으로도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갑자기 수면 시간을 바꾸기 힘들기 때문에 따뜻한 물로 몸의 긴장을 풀거나, 베개와 안대 등을 활용해 최적의 수면 환경을 만드는 게 좋다. 일상에 복귀한 후에도 생체리듬을 회복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하루 6시간 이상 충분히 자도록 한다.

조성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도 “수면 시간이 한 번 무너지면 바로 잡기 어렵다”며 “잠드는 시간을 가지고 리듬을 되찾으려기 보다 일어나는 시간을 가지고 조절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지개 켜는 석유화학, 1분기 흑자 전환 보인다
  • 챔피언스리그 4강 대진표 반 채워졌다…진출팀은?
  • 삼성전자, 14억 인도시장 공략... AI 기반 원격 AS 도입
  • 인천 부평역 앞 횡단보도 땅꺼짐…차량 통제 중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순…‘오가노이드·장기칩’ 뜬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12: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77,000
    • -1.03%
    • 이더리움
    • 2,325,000
    • -1.82%
    • 비트코인 캐시
    • 466,600
    • -1.17%
    • 리플
    • 3,039
    • -2.22%
    • 솔라나
    • 184,400
    • -2.02%
    • 에이다
    • 896
    • -3.24%
    • 이오스
    • 875
    • -2.02%
    • 트론
    • 369
    • +0.27%
    • 스텔라루멘
    • 344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40
    • -0.98%
    • 체인링크
    • 18,000
    • -1.91%
    • 샌드박스
    • 363
    • -2.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