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K-방산’ 명운 쥔 수은법 개정안 처리 시급하다

입력 2024-02-12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동방의 작은 나라 정도로 치부됐던 대한민국이 전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 K-팝, K-푸드, K-뷰티 등 ‘메이드 인 코리아’의 인기가 어느 때보다 높다.

기름 한 방울도 나지 않은 우리나라가 전 세계가 주목하는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데는 수출 주도 성장 전략이 주효했다. 과거 우리나라를 먹여 살린 품목들을 보면 다람쥐, 머리카락, 은행잎까지 돈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팔았다.

K-방위산업 역시 글로벌 시장에 우뚝 서기까지 맨주먹으로 허리띠를 졸라맸던 시기가 있었다.

1970년대 중화학공업을 육성하면서 수출 품목이 크게 바뀌었고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이른바 ‘번개사업’이 시작됐다. 이름처럼 한 달 안에 예비군 20개 사단 무장에 필요한 무기로 소총, 기관총, 박격포, 로켓 발사기를 만들라는 명령이었다.

1975년 필리핀에 M1 소총 탄약을 팔았는데 첫 방산 수출이었다. 당시 연간 수출액이 47만 달러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130억 달러로 사상 최대 수출 성과를 기록했다. K-방산은 유럽 핵심 우방국인 폴란드를 거점으로 항공 산업의 본고장인 미국 시장 진출까지 노리고 있다.

방위 산업은 '때'가 맞아 떨어져야 하는데, 지금이 바로 그 시점이다.

하지만 국내 방산 기업이 폴란드와 30조 원 규모 2차 무기 수출 계약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 국회의 늑장 대응이 발목을 잡고 있다.

방위 산업과 같이 정부 간 계약(G2G)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민간에서 다룰 수 있는 규모를 초과하는 대형 프로젝트는 수출국이 마련한 대외정책금융이 뒷받침돼야한다.

그런데 한국수출입은행의 금융 지원 한도가 다 차버렸다. 10년이나 묶여 있는 수은의 법정 자본금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은법 개정이 필요한데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라며 국회 처리가 안 되고 있다. 비상을 준비할 시기에 날개를 달아주는 대신 모래 주머니를 채운 꼴이다.

미국도 2000년대 소극적 금융 지원으로 헝가리, 체코 전투기 수출에 실패했다. 이후 계약 당 1억 달러 수준의 차관을 조 단위 금융 지원으로 전환하고, 2002년 폴란드 정부에 100% 대출 지원을 제공하면서 F-16 전투기 48기 계약을 체결했다.

‘물 들어올 때 노 저어라’는 속담처럼 여건이 조성됐을 때 치고 나가야 한다. 향후 K-방산 수출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여야의 조속한 처리가 절실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전방위 폭탄에 갈피 못잡는 기업들…공급망 재편 불가피 [美 상호관세 쇼크]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5: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744,000
    • -0.67%
    • 이더리움
    • 2,708,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452,200
    • +0.47%
    • 리플
    • 3,059
    • -0.39%
    • 솔라나
    • 177,000
    • -3.54%
    • 에이다
    • 967
    • -2.03%
    • 이오스
    • 1,207
    • +5.88%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391
    • -0.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120
    • -1.09%
    • 체인링크
    • 19,470
    • -2.21%
    • 샌드박스
    • 391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