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목련 피는 4월 의정부·동두천이 경기북도 중심지로”

입력 2024-02-16 16: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정부=뉴시스] 고범준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6일 오후 경기 의정부시 제일시장 번영회에서 열린 의정부 시민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2.16. photo@newsis.com
▲[의정부=뉴시스] 고범준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6일 오후 경기 의정부시 제일시장 번영회에서 열린 의정부 시민들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02.16. photo@newsis.com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목련 피는 4월이면 의정부와 동두천이 경기북도의 새로운 중심지로 다시 태어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후 의정부 내 반환 미군 공여지인 캠프 레드클라우드(CRC)를 방문해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신설 추진 계획을 제시했다. 유의동 정책위의장, 경기-서울 리노베이션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인 배준영 의원 등과 함께 공여지를 둘러봤다.

그는 “의정부와 동두천이 판교와 수원처럼 된다면 새 활력이 될 것”이라며 “기존 이름을 바꾸고 규제를 풀자는 것이다. 경기 전체 문제가 아니라 경기도를 분도(分道) 했을 때 훨씬 체계화되고 집중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포에 갔을 때 서울 편입과 분도 문제를 같이 보겠다고 했는데, 분도 문제는 결국 경기북도 문제”라며 “분도는 경기북도의 자생력과 활력을 되찾는 방향으로 가야하고, 그 방식 중 하나에 이곳(미군 공여지) 개발도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북부 경기도가 서울 국방을 대신하고 여러 가지 규제로 희생한 지 70여 년 됐다”며 “의정부 시민 원하는 대로 (공여지를) 개발하는데 시 자산만으로 안된다. 중앙예산으로 충분히 개발해야 한다는 검토를 마치고 온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선순위에서 매일 밀려왔던 것을 이번 TF에서 해결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민의힘은 경기 일부 도시의 서울 편입과 경기도 분도를 동시에 추진할 경기-서울 리노베이션 TF를 발족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560,000
    • -0.67%
    • 이더리움
    • 2,521,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2.8%
    • 리플
    • 3,152
    • -1.65%
    • 솔라나
    • 215,500
    • -0.92%
    • 에이다
    • 1,045
    • +3.36%
    • 이오스
    • 966
    • +0.52%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97
    • +3.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80
    • +0%
    • 체인링크
    • 21,420
    • +0.47%
    • 샌드박스
    • 426
    • -0.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