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병원 간호사의 한탄 "전공의 파업하면 모든 책임 떠안게 돼"

입력 2024-02-21 06: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 사직서를 내고 근무 중단을 선언한 전공의 대표들이 20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 사직서를 내고 근무 중단을 선언한 전공의 대표들이 20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서 제출로 모든 업무가 간호사들에게 가중됐다는 성토가 나왔다.

19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간호사가 인턴 업무를 하고 있다'라는 글이 게시됐다.

'빅5' 대형병원 중 한 곳인 서울아산병원에 근무한다는 간호사 A 씨는 "지금 인턴만 파업 중이고 곧 전공의까지 파업한다고 하는데, 병원에서 인력이 부족하니 인턴 업무를 간호사에게 하도록 하고 있다.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다"고 적었다.

A 씨는 "전공의까지 파업하게 되면 간호사들이 환자의 컴플레인과 의사의 업무를 다 받고 만일 환자가 잘못될 경우엔 법적 책임까지 떠안게 될 텐데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전공의까지 파업하면 답이 없다"라며 "이미 병원에 중환자분들 너무 많은데, 다른 병원에 전원시키는 것도 아니고 그대로 저 환자들 내버려 두고 나가버리면 죽이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라고 꼬집었다.

또 A 씨는 "전공의까지 없는 상태에서 어레스트(arrest, 심정지) 환자 발생하면 어떡하냐"라며 "바로 처방하러 달려올 사람이 없어 약도 못 준다. 정말 큰일이다"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A 씨는 "의사가 파업하려는 이유는 알겠지만, 최소한 파업을 하더라도 병원이 돌아갈 수 있도록 대처방안을 내놓고 나가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일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을 점검한 결과 소속 전공의의 55%(6415명)가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중 25%(1630명)는 근무지를 이탈했다. 특히 전공의가 많은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성모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에 이탈자가 집중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사직서는 모두 수리되지 않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068,000
    • +1.95%
    • 이더리움
    • 2,556,000
    • +2.36%
    • 비트코인 캐시
    • 519,500
    • +1.46%
    • 리플
    • 3,160
    • +2.66%
    • 솔라나
    • 222,400
    • +5.5%
    • 에이다
    • 1,035
    • +6.37%
    • 이오스
    • 976
    • +6.2%
    • 트론
    • 351
    • +0.57%
    • 스텔라루멘
    • 407
    • +8.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950
    • +18.57%
    • 체인링크
    • 21,750
    • +6.25%
    • 샌드박스
    • 443
    • +7.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