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글로벌 비만치료제 ETF, 개인 순매수 200억 돌파

입력 2024-02-23 10: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삼성자산운용)
(출처=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상장지수펀드(ETF)’가 상장 7영업일 만에 개인 순매수 203억 원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ETF는 비만치료제 선두주자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를 각각 25.5%, 26.3% 담고 있다. 유럽 시가총액 1위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로 유명한 비만치료제 시장 개척자로 지난해 시장 점유율이 94%에 달한다. 일라이릴리는 전 세계 헬스케어 분야 시가총액 1위 제약사다. 골드만삭스는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일라이릴리가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ETF는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 외에도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에서 비만치료제로 임상 중인 8개 종목을 추려 동일 가중으로 투자한다. 동일 가중 방식으로 단순 시가총액 방식일 경우 소외될 수 있는 비만치료제 특화 강소기업 비중을 비교적 높게 가져갔다.

8개 종목에는 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 등 대형 제약사를 비롯해 임상 결과에 따라 기술 수출 기대감 등으로 잠재 성장률이 높은 4개 강소 제약사 기업이 포함된다. 세계적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비만치료제 개발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덴마크의 질랜드 파마, 최근 긍정적 비만치료제 임상 1상 종합 결과를 발표한 미국 바이킹 테라퓨틱스 등이 포트폴리오에 포함됐다.

김천흥 삼성운용 매니저는 “고성장이 예상되는 비만치료제 시장에 발 빠르게 투자하는 투자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비만 치료제 시장은 이제 개화하는 단계로 제약사들의 설비시설이 점차 확충돼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매출 규모는 꾸준히 높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ETF는 ‘iSelect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를 기초지수로 한다. 매년 6월과 12월 정기 지수변경을 진행하며 총보수는 연 0.45%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880,000
    • +1.63%
    • 이더리움
    • 2,555,000
    • +2%
    • 비트코인 캐시
    • 524,000
    • +1.65%
    • 리플
    • 3,156
    • +2.47%
    • 솔라나
    • 221,700
    • +5.02%
    • 에이다
    • 1,038
    • +6.57%
    • 이오스
    • 978
    • +6.19%
    • 트론
    • 350
    • +0%
    • 스텔라루멘
    • 409
    • +9.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00
    • +19.27%
    • 체인링크
    • 21,850
    • +6.17%
    • 샌드박스
    • 444
    • +8.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