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업의 근간인 반도체가 국가간 패권 경쟁으로 위기인데 삼성전자의 대책은 무엇인가.”, “신사업 투자와 인수합병(M&A)과 관련해 구체적인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 “주주를 물로 보느냐?”, “왜 모든 질문에 준비한 답변으로만 답하고 동문서답하는가.”
지난해 3월 15일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54기 삼성전자 정기 주주총회 현장에서 쏟아진 송곳 같은 질문이다. 삼성전자 주주들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사업 경쟁력 약화와 국가 간 반도체 패권 경쟁에 대한 우려를 내놨다. 낮아진 주가와 회사의 신성장 동력과 관련한 주주들의 날 선 질문도 이어졌다.
한해 앞서 2022년 3월 열린 제53기 주주총회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갤럭시S22’에 탑재된 게이밍 최적화 서비스(GOS) 논란에 대해 주주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했다.
당시 삼성전자는 최신 스마트폰 갤럭시 S22를 출시하면서 스마트폰 성능을 최대 60% 수준까지 제한하는 이 기능을 고객의 의지와 상관없이 실행되게 만들었다. 소비자들은 GOS앱 강제 실행은 성능 조작이나 마찬가지라며 반발했고, 고객을 기만하는 것이라는 말까지 나온 바 있다.
올해 주주총회 역시 주주들의 쓴소리가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주가는 지난해보다 나아졌지만, 작년 실적이 크게 부진했고 전망 역시 긍정적이지 만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전자 580만 명의 동학개미 주주를 보유한 국민 주식이라는 점에서 주주들의 원성은 더 크다.
20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삼성전자 제55기 정기 주주총회에선 인공지능(AI) 시대의 효자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주도권을 경쟁사 SK하이닉스에 빼앗긴 데 대한 주주들의 쓴소리가 예상된다.
대만 TSMC와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파운드리 사업에 대한 질책도 이어질 전망이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TSMC와 삼성전자 파운드리 시장점유율 격차는 지난해 3분기 45.5%포인트(p)에서 4분기 49.9%p로 더 벌어졌다. 삼성은 3나노 공정에서 TSMC보다 먼저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을 적용해 승부수를 던졌지만 아직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최대 시장인 중국의 불황과 중국 기업 저가 공세에 밀려 수출이 쪼그라든 석유화학 업체들의 주총장에서도 주주들의 원성이 이어질 전망이다.
LG화학은 지난해 매출 55조2498억 원, 영업이익 2조5292억 원을 기록했다. 2022년보다 매출은 8.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5.1% 줄었다. 석유화학 부문 수익성이 감소한 게 결정타였다. 금호석유화학도 지난해 매출액 6조3223억 원, 영업이익 35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0.7%, 68.7% 급감했다.
주주총회가 겁나는 건 비단 이들 기업뿐만이 아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국내 매출 100대 기업(금융·공기업 제외) 중 현재 작년 실적을 공시한 57곳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41.9% 감소했다. 최근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은 탓에 주주들은 기업에 명확한 향후 사업 비전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잇따라 배당 확대, 자사주 소각 등의 주주가치 제고 정책을 통해 주주 달래기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 역시 한국 증시의 저평가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는 작년 기말 배당금을 역대 최대인 보통주 기준 주당 8400원으로 정했고, 기아 역시 기말 배당금을 5600원으로 책정, 전년 대비 2100원 올린다.
SK이노베이션은 2011년 출범 이후 처음으로 7936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기로 했다. 삼성물산도 자사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1조 원 이상 규모를 소각할 예정이다. HD현대건설기계, SM엔터테인먼트 등도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텔레콤 등은 주총에 이사 보수 한도를 축소하는 안건을 상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