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연수 GS리테일 부회장 “알리 공세 위협적...올해 편의점 내실 집중” [주총 현장]

입력 2024-03-21 11: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신사업 투자보다는 핵심 사업에 집중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이 오전 9시 서울 강동구 천호동 GS리테일 동북부사무소에서 열린 ‘제 57회 GS리테일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이 오전 9시 서울 강동구 천호동 GS리테일 동북부사무소에서 열린 ‘제 57회 GS리테일 정기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현호 기자 m2h@)

허연수 GS리테일 대표이사 부회장은 21일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들의 국내 시장 진출과 관련해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큰 자금력을 가지고 들어와 유통업 전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견제를 위한 출혈 경쟁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허 부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동구 천호동 GS리테일 동북부사무소에서 열린 ‘제53기 GS리테일 정기주주총회’를 마친 뒤 취재진을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들이)온라인에 가장 먼저 위협이 될 것이고, 오프라인도 독자적으로 가기 어렵기 때문에 시장 견제를 위해선 출혈 경쟁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그 부분에 대해선 조금 걱정이 된다”고 밝혔다.

허 부회장은 올해 신사업 투자보다는 기존 핵심 사업에 집중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주력 사업인 편의점은 점포 확장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힘을 쏟을 방침이다.

그는 “몇 년 동안 신사업에 투자해 보니 경기적으로 봤을 때 투자보다는 핵심 사업인 편의점과 슈퍼, 홈쇼핑에 더 집중하는 게 맞는 것 같다”며 “(핵심 사업에서)최대한 수익을 내면서 신사업 기회를 봐야 한다”고 했다.

허 부회장은 편의점 사업과 관련해 “조직도 많이 바꿨고 올해는 편의점 쪽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만큼 좋은 상품들이 많이 나올 것 같다”며 “점포 수 확장을 통한 외연 확장과 내실 다지기 모두 중요하지만, 외형 경쟁을 크게 할 생각은 없고 내실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슈퍼 사업에 대해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소형 가맹점으로 전환했던 것이 효과적이었고 좋은 성적을 내고 있어 올해도 공격적으로 점포를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의대 증원’ 새 국면…수업복귀 시간 끌기 들어가나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6호선 한강진역 오후 1시 15분부터 정상운행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14: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677,000
    • -1.98%
    • 이더리움
    • 2,631,000
    • -3.52%
    • 비트코인 캐시
    • 447,100
    • -1.24%
    • 리플
    • 3,014
    • -2.24%
    • 솔라나
    • 169,300
    • -5.31%
    • 에이다
    • 953
    • -2.26%
    • 이오스
    • 1,201
    • -0.41%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80
    • -3.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970
    • -3.48%
    • 체인링크
    • 18,620
    • -5.34%
    • 샌드박스
    • 384
    • -2.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