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안갯속
이란의 이스라엘 본토 공격으로 높아진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로 국내 시장금리가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족을 비롯한 서민들의 이자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동지역에서의 전쟁은 유가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물가상승으로 연결돼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15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이달 12일 기준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의 준거금리가 되는 금융채(은행채) 5년물(AAA) 금리는 연 3.828%로, 한 달 전(3월 12일 3.784%)보다 0.044%포인트(p) 높아졌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이날 기준 혼합형(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연 3.14~5.774%로 이달 4일(연 3.05~5.726%)보다 금리 하단이 0.09%p 올랐다. 시중은행들은 연이어 시장금리를 인상하는 분위기다. 2월 한 차례 주담대 금리를 인상한 신한은행은 이달 들어 0.1~0.3%p를 추가로 올렸다. KB국민은행도 2월 주담대 금리를 0.23%p,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부터 주담대와 전세대출 금리를 0.1~0.3%p 인상했다.
이처럼 최근 주담대 금리가 오르는 것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영향이다. 특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란-이스라엘의 직접 충돌에 따른 중동 사태 확전 위기가 고조되면서 불안감이 커지는 형국이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채권시장에서도 장기채권보다 단기채권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장기채권 금리도 상승하는 추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금리를 인하하는 시점도 미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런 분위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점쳐진다. 3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면서 연준에서도 금리 인하를 쉽사리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기준금리도 영향을 받아 인하 시점이 늦춰질 것이란 주장에 힘이 실린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저를 포함한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전부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이날 중동 사태 관련 시장점검회의를 열고 “향후 중동 사태 전개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고, 사태가 악화되면 글로벌 금융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며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이미 가동 중인 94조 원 규모 시장안정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했다.
가뜩이나 금리 상승 기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차주들은 추가 금리 부담에 한숨을 쉬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미 연준이나 한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 분위기가 후퇴한 상황인 데다 당장 금리 인하 요인이 보이지 않다 보니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지금으로서는 대환대출 서비스를 적극 이용하는 게 그나마 이자 부담을 덜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