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이 전장 대비 10.5원 오른 1394.5원을 나타내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0.80포인트(2.28%) 내린 2609.63에 거래를 마쳤으며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61포인트(2.30%) 하락한 832.81에 거래를 마감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https://img.etoday.co.kr/pto_db/2024/04/20240416161350_2013266_384_600.jpg)
원·달러 환율 1400원 돌파에도 국내 외국인의 순매도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환율 1400원 도달이 갖는 의미가 과거와 크게 달라졌다는 이유에서다.
17일 신한투자증권은 "원·달러 환율 1400원의 의미가 과거와 달라진 점을 고려했을 때 무분별한 위험자산 회피가 아니라면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자금 이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 장중 1400원을 터치했다. 환율 1400원 구간 진입은 2000년 이후 단 두 차례 있었다. 2008년 리먼 사태와 긴축 속도를 확대하던 2022년 4분기였다. 주식시장은 앞선 두 차례 환율 상승 구간에서 크게 출렁였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도 가능성을 여전히 높게 판단하지 않는다"며 3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관련 뉴스
먼저, 현재 원·달러 환율 상승의 상당 부분 원인을 달러의 강세 독주에서 찾을 수 있다. 원화 절상률은 주요국 중 하위권에 있으나 과거에 비해 크게 두드러지는 수준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원화는 달러 대비 연초 이후 7.4%, 최근 1년간 6.0% 하락했다. 달러화 지수는 같은 기간 각각 4.6%, 4.7% 상승했다. 해당 기간 멕시코 정도를 제외하면 주요국 통화 가치는 달러 강세로 인해 내림세를 피하기 어려웠다. 중국, 일본 등 주변국 통화가치 절하도 원화에 영향을 미쳤다.
정책 대응 여력과 무역수지 환경도 긍정적이다. 작년 말 한국 준비자산 규모는 4200억 달러로 단기외채·준비자산 비율 32.4%를 기록 중이다. 해당 비율은 외환 위기 직전 600%를 넘었던 바 있으나 현재는 위험 수준을 낮춰 놓은 상황이다.
여기에 전체 외채 대비 한국의 단기 외채 비율은 20.5%에 그치고 있다. 노 연구원은 "과거 원·달러 환율 급상승은 직전 무역수지 누적 적자를 앞세웠던 바 있다. 한국 무역수지 12개월 누적 규모는 지난 3월 기준 215억 달러"라며 "무역수지 흑자와 기업이익 개선이 동반해 과거 환율 급상승 구간과 다르다"고 짚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국가 대차대조표가 중장기 관점에서 선진국형으로 달라졌다는 점이다. 노 연구원은 "한국은 순 채권국으로 바뀐 지 오래다. 한국 순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자산과 부채 간 차)은 2014년 3분기부터 플러스(+)였다"며 "대외금융부채가 더디게 증가한 반면 대외 금융자산은 2020년대 들어 더 빠르게 성장했다"고 했다.
이어 "개인 투자자와 국내 연기금 해외 투자도 해당 기간 급증했다. 해외 투자 확대는 원화 가치 절하 요인이지만 변동성 확대 시 본국 송환 가능성도 있어 환율 변동성을 극대화하지 않을 요소다. 원·달러 환율은 무역수지 레벨 감소, 달러 강세에 따라 2020년대 이후 레벨을 높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