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지오센트릭, 원가·부산물 줄인 ‘생분해성 플라스틱’ 기술 확보

입력 2024-04-22 08: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전 유성구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실에서 박재연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PL(오른쪽)과 연구진들이 PLA 기술 연구설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SK지오센트릭)
▲대전 유성구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실에서 박재연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PL(오른쪽)과 연구진들이 PLA 기술 연구설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SK지오센트릭)

SK지오센트릭이 적은 비용으로 화학 부산물까지 최소화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원료 ‘젖산’을 만드는 신기술을 확보했다.

SK지오센트릭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연구진이 젖산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발효방법을 개발해 한국생물공학회로부터 우수기술연구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PLA는 매립 시 3~6개월 내 자연분해돼 분해에만 500년 이상 걸리는 석유화학 물질(에틸렌) 플라스틱을 대신해 지속 가능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이머전리서치는 세계 PLA 시장 규모가 2019년 15억400만 달러에서 연평균 18.5% 성장해 2032년 138억9109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젖산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발효 과정에서 지속적인 발효를 위해 산을 중화하는 중화제(칼슘)를 투입하고, 이때 화학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부산물(황산칼슘)을 제거해야 하는 건 PLA 확산의 걸림돌로 꼽혔다.

연구진은 산에 강한 특수 미생물을 선별하고, 독자적인 미생물 촉매기술을 활용해 중화제 사용량을 줄인 젖산 생산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로 부산물 처리에 따른 환경 부담과 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그간 미국 기업만 상업화에 성공했을 정도로 기술 장벽이 높았으나, 이번에 독자적인 방식으로 이를 구현해냈다.

SK지오센트릭은 이번 연구개발(R&D) 성과를 바탕으로 경제성을 갖춘 사업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지난 한 세기 동안 인류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었던 플라스틱은 이제 환경의 지속성 또한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며 “이번 R&D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세계 PLA 시장에서 SK이노베이션 계열의 경쟁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804,000
    • -4.12%
    • 이더리움
    • 2,375,000
    • -10.51%
    • 비트코인 캐시
    • 408,000
    • -8.19%
    • 리플
    • 2,919
    • -7.3%
    • 솔라나
    • 160,200
    • -9.18%
    • 에이다
    • 864
    • -10.09%
    • 이오스
    • 1,109
    • -0.09%
    • 트론
    • 346
    • -1.7%
    • 스텔라루멘
    • 351
    • -5.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00
    • -10.59%
    • 체인링크
    • 17,020
    • -9.08%
    • 샌드박스
    • 349
    • -9.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