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현 총리는 지난 10일 바이든과 정상회담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현재 일본 집권 자민당 부총재를 맡은 아소 전 총리와 이날 뉴욕 트럼프타워에서 만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트럼프타워 현관에서 직접 아소 전 총리를 맞이하며 “우리의 친애하는 친구인 고(故) 아베 신조 전 총리를 통해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 현 일본 총리가 지난 1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만나 양국 관계를 다진 터라 일본 정부는 이날 두 사람의 회동에 대해 표면적으로는 관련이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정부가 관여하지 않은 한 의원의 활동에 대해 언급은 자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내에서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주요 정치권 인사가 현직 미국 대통령의 경쟁 대선 후보를 만나는 게 이례적인 것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이에 대해 닛케이는 미국 대선 이후를 내다보고 정부를 대표하는 총리와 집권당인 자민당 2인자인 아소 총리가 역할을 분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즉 대선 결과를 대비하기 위해 ‘보험 들기’ 차원으로 아소 전 총리가 트럼프와 접촉한 것이라는 이야기다. 다만 닛케이는 관계자 발언을 인용해 이번 회동이 당초 트럼프 측의 접근으로 조율이 시작됐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는 과거에 트럼프가 대통령직에 오르기 전에 일찌감치 친분을 쌓아 덕을 본 경험이 있다. 아베 전 총리는 2016년 11월 대선 승리 후 당선인 신분이었던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뉴욕으로 날아가 친분을 쌓았다. 이때 쌓은 친분을 토대로 일본 정부는 미국이 각국에 요구했던 방위비 분담금 증액 문제 등을 피하고 미일 관계를 강화할 수 있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관련 뉴스
일본뿐만이 아니다.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무장관도 지난 8일 미국 플로리다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고,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도 17일 뉴욕에서 트럼프와 사적으로 만났다. 일각에서는 중국도 과거 트럼프 전 정권 시절 미국과 무역마찰을 겪었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현재 물밑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 측과 접촉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