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실손보험 약 2조 적자…新 비급여 치료 등장에 '몸살'

입력 2024-05-1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년 새 손실 4400억 늘고
손해율도 2.1%p 높어져

▲실손의료보험 손익 현황 표.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실손의료보험 손익 현황 표. (사진제공=금융감독원)

실손보험이 만성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무릎 줄기세포 주사 등 새로운 비급여 치료가 계속 나타나면서 손해율이 다시 오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실손의료보험 사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 손익은 1조97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4400억 원 더 늘어나며 상황이 더 악화했다.

생명보험의 이익은 1년 새 500억 원 줄었고, 손해보험의 손실은 3900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경과손해율은 103.4%로 전년(101.3%) 대비 2.1%p 높아졌다. 손해율은 3세대(137.2%)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4세대(113.8%), 1세대(110.5%), 2세대(92.7%)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출시된 3세대는 지난해 처음 보험료를 인상했고 새로 출시된 4세대는 2026년까지 보험료를 조정하지 않기로 하면서 두 상품의 손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작년 사업비율은 10.3%로 지난해와 유사했다.

실손보험의 작년 말 보유계약은 3579만 건으로 전년 말(3565만 건)보다 14만 건(0.4%) 많아졌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다. 보험료수익은 14조4000억 원으로 전년(13조2000억 원)보다 1조2000억 원(9.5%) 불어났다.

비급여 보험금은 8조 원으로 전년 대비 2.0%(1000억 원) 더 많이 지급됐다. 코로나 방역 조치 완화 후 호흡기 질환 유행으로 비급여 주사료(28.9%)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근골격계질환 치료(도수치료) 28.6% △질병 치료 목적의 교정치료 3.1% △재판매 가능 치료재료 2.0% △하지정맥류 1.6% 순으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무릎 줄기세포 주사 등 신규 비급여 항목이 계속 등장하는 등 전체 실손보험금 중 비급여가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 "실손보험이 국민의 사적 안전망 역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험금 누수 방지와 다수의 선량한 계약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또 "7월부터 개시되는 4세대 비급여 보험료 차등제와 군 장병 실손의료보험 중지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정당한 보험금 청구는 신속히 지급되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