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의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수는 99만9022가구로 주저앉았다. 농가 수가 100만 가구 아래로 떨어진 건 1949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이다.
농가 200만 가구는 1982년 깨졌고, 이후 100만 가구대를 지켜왔지만 이마저도 무너졌다. 줄어드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농가 수 감소율은 2021년 0.4%(3983가구)에서 2022년 0.8%(8413가구)로, 지난해에는 2.3%(2만3775가구)로 커졌다.
고령화도 심각하다. 65세 이상 고령농가 비율은 2020년 42.3%, 2021년 46.8%, 2022년 49.8%에서 지난해 52.6%로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고령인구 비율(18.2%)의 3배에 육박한다.
반면 청년농 수는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영주가 40세 미만인 농가는 2020년 1만2426가구에서 2021년 8477가구, 2022년 7036가구로 줄어들다가 지난해 5439가구로 3년 만에 절반 넘게 줄었다. 모든 연령대 가운데 전년 대비 감소율(22.7%)이 가장 높다. 전체 농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0.7%에서 지난해 0.5%로 떨어졌다.
대안으로 주목받던 귀농·귀촌 인구도 감소세다. 2022년 귀농‧귀촌 인구는 43만8012명으로 2021년 51만5434명보다 7만7422명이 감소했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2021년 37만7744가구에서 지난해 33만1180가구로 4만6564가구가 줄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귀농‧귀촌 감소 이유로 국내 이동자 수가 48년 만에 최저치 기록하고 주택거래량이 49.9% 감소하는 등 부동산이 침체했고, 귀농·귀촌 1인 가구 비율이 상승(75.2%→77.5%)했다는 점 등을 꼽았다.
하지만 앞서 2021년 인구 이동량은 2020년 대비 52만 명 감소했지만 귀농·귀촌 인구는 오히려 2만 명 증가했다. 보다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특히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역귀농·귀촌 통계는 제대로 집계되지도 않고 있는 실정이다.
김호 단국대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귀농‧귀촌인구가 전년도보다 7만7000명이나 줄어든 것은 상당히 큰 수치"라며 "귀농·귀촌 통계자료와 현장의견을 토대로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과 농경연은 2014년부터 5년간 귀농인 1,039명을 장기 추적한 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다. 이를 통해 추정된 역귀농률은 약 8.6%로, 귀농인 10명 중 1명은 귀농을 포기하고 도시로 돌아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