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인력난에 군대 모집 비상...“외국인 영주권자도 환영”

입력 2024-06-04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내년 1월부터 미국 등 영주권자 입대 가능
중국 군사력 대응하기 위해 방위력 강화

▲호주 방위군(ADF)이 훈련하고 있다. 캔버라/신화뉴시스
▲호주 방위군(ADF)이 훈련하고 있다. 캔버라/신화뉴시스
호주가 군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에게도 문호를 연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호주방위군(ADF)이 비시민권자의 입대를 허용하는 등 모집 기준을 완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ADF는 이날 성명에서 호주에 12개월 동안 거주한 영주권자도 입대할 수 있도록 자격 요건을 완화하겠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는 4월 국방 전략에서 처음 발표된 데에 따른 것이다. 당시 국방회의에서는 향후 4년 동안 국방에 57억 호주달러(약 5조2225억 원)를 투입하는 등 방위 계획을 강화했다.

ADF에 입대하고자 하는 영주권자는 지원 직전 1년 이상 호주에 거주해야 하며, 이전 2년 동안 외국군에서 복무하지 않아야 한다. 7월부터는 호주에 거주하는 뉴질랜드인이 먼저 입대 자격을 갖는다. 내년 1월부터는 미국, 영국, 캐나다 및 태평양 국가 출신 영주권자도 입대할 수 있다. 맷 키오 호주 보훈부 겸 국방인사부 장관은 “군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혁신이 필요하다”면서 “호주군을 성장시키기 위해 과감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ADF 모집 기준 완화 정책이 중국 군사력 확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호주 싱크탱크 로위연구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호주인의 70%가 중국이 20년 이내에 군사적 위협이 된다고 답했다. 둥 쥔 중국 국방부장은 2일 제21회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누구라도 감히 대만을 중국에서 분열시키려 한다면 멸망을 자초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위협하고 있다.

ADF는 첨단 기술이 도입된 정예군이지만 병력은 적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총인원 8만9000여 명으로, 인접한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적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호주 군대 현황에 대한 주요 정부 보고서에 호주군은 “현재 전략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밝혔다. ADF는 해외 모집 제도를 간소화해 숙련된 군 해외 지원자를 모집해 부족한 역량을 채울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故 구하라 금고털이범, 버닝썬 사건과 연관돼 있을 가능성 있어"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10: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62,000
    • +0.53%
    • 이더리움
    • 4,835,000
    • +1.6%
    • 비트코인 캐시
    • 545,000
    • +3.02%
    • 리플
    • 668
    • +0.75%
    • 솔라나
    • 207,800
    • +7.84%
    • 에이다
    • 549
    • +1.1%
    • 이오스
    • 824
    • +1.98%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50
    • +0.87%
    • 체인링크
    • 20,090
    • +3.03%
    • 샌드박스
    • 474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