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ENP, 중국서 최저 ‘반덤핑 관세’ 적용받는다

입력 2024-06-28 08: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ENP, 사명 변경 후 中 반덤핑 조치 승계 신청
한국·태국·말레이산 POM 중 가장 낮은 관세율 적용

▲코오롱ENP 김천1공장.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수준인 연산 15만 톤(t)의 POM 생산능력을 보유했다. (출처=코오롱ENP)
▲코오롱ENP 김천1공장.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수준인 연산 15만 톤(t)의 POM 생산능력을 보유했다. (출처=코오롱ENP)

코오롱ENP가 생산하는 폴리포름알데히드 혼성중합체(POM)가 중국에서 해외 업체 중 가장 낮은 반덤핑 관세율을 적용받는다.

28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코오롱ENP는 3월 사명을 코오롱플라스틱에서 코오롱ENP로 변경한 이후 중국 상무부에 신규 사명으로 기존 반덤핑 관세 판정을 유지하기 위한 행정 절차를 시작했고, 이달 20일 자로 승인이 완료됐다.

POM은 내마모성과 내마찰성, 내화학성 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기어, 롤러 등의 기계 부품과 자동차 안전벨트 버튼, 창문 구동장치, 연료펌프 등의 자동차 부품, 프린터나 냉장고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중국 정부는 2016년부터 자국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한국·태국·말레이시아산 POM에 대해 덤핑 정도에 따라 6.2%에서 최대 34.9%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왔다.

관세 적용 기간은 지난해 10월까지였지만, 중국 상무부는 1년간의 추가 조사를 거쳐 2018년 10월 24일까지 반덤핑 관세 조치를 연장하기로 했다.

코오롱ENP는 해외 POM 업체 중 가장 낮은 6.2%의 반덤핑 관세를 적용받는다. 국내 기업 중에선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 30.0%, LG화학을 비롯한 기타 업체들에는 30.4%의 관세율이 부과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POM 생산업체들의 반사 수혜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앞서 지난달 19일 중국 상무부는 미국·유럽연합(EU)·일본·대만산 POM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한국·태국·말레이시아산에 대해 매기던 반덤핑 과세를 확장한 것이다. 반덤핑 관세 부과가 결정된다면 글로벌 POM 시장의 생산업체 셀라니즈, 듀폰 등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플라스틱 업계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반덤핑 조사가 자국 제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매기는 미국, 유럽 등을 견제하는 성격도 있는 만큼, 이미 중국에서 반덤핑 과세를 적용받던 한국 기업들의 반사 이익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067,000
    • +3.46%
    • 이더리움
    • 2,886,000
    • +12.08%
    • 비트코인 캐시
    • 589,500
    • +14.91%
    • 리플
    • 3,157
    • +4.85%
    • 솔라나
    • 225,200
    • +9.21%
    • 에이다
    • 1,030
    • +9.57%
    • 이오스
    • 1,197
    • +9.62%
    • 트론
    • 359
    • +2.57%
    • 스텔라루멘
    • 396
    • +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50
    • +9.46%
    • 체인링크
    • 21,430
    • +11.44%
    • 샌드박스
    • 425
    • +11.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