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리스 파두, 미국 자회사 ‘이음’ 통해 CXL 사업 박차

입력 2024-06-27 08: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CXL 스위치 반도체로 차세대 데이터센터 표준 선도

데이터센터 반도체 전문기업 기업 파두가 자회사이음(eeum)에 약 63억 원(450만 달러)을 추가 투자해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이음은 파두가 2023년 10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회사다. 차세대 데이터센터 기술 표준인 CXL기반의 반도체 제품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CXL은 데이터센터에 탑재되는 다양한반도체 간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차세대 표준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으로 인해 데이터센터에서 수많은 GPU, NPU 들과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반도체들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움직여야 하는 데이터양이 크게 늘어나면서 새로운 전송기술의 표준으로 제안된 CXL은 최근 AI 데이터센터의성장과 함께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음은 지난해 11월 미국콜로라도에서 열린 데이터센터 업계 최대 행사인 SC23(SuperComputing 23)에서 CXL 에코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선보였으며, 올해 1월에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논의 중이다.

이번 투자는 작년 10월 첫 투자에 이어 두 번째로 이뤄진 것이다. CXL 시스템의 핵심인 CXL스위치 반도체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됐다. 파두는 CXL이 미래 데이터센터의 가장 중요한 기술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고, 실리콘밸리에 있는 이음을 CXL 연구개발의 중심으로 육성하고 있다.

파두 관계자는 “데이터센터에서 CXL스위치는 SSD, DRAM과AI GPU/NPU, CPU를 연결해주는 핵심 반도체가 될 것”이라며 “이미 기업용 SSD컨트롤러를 통해 차세대 데이터센터향 반도체를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을 글로벌 데이터센터 고객들에게 입증한 바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대표적인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은 CXL을 적용한 D램을 개발 중이며, 파두는 CXL SSD와 함께 CXLDRAM을 CPU 및 GPU와 연결하는 CXL 스위치 반도체를 차세대 주력제품으로 삼아 데이터센터 반도체 시장을 이끌어 나가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데이터센터의 혁신을 선도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02,000
    • -0.03%
    • 이더리움
    • 4,760,000
    • -0.31%
    • 비트코인 캐시
    • 539,000
    • -1.64%
    • 리플
    • 666
    • -0.15%
    • 솔라나
    • 199,300
    • -0.9%
    • 에이다
    • 546
    • -1.62%
    • 이오스
    • 795
    • -5.02%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1.97%
    • 체인링크
    • 19,180
    • -3.86%
    • 샌드박스
    • 463
    • -3.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