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 4고로, 3차 개수 마치고 조업 재개

입력 2024-06-27 13: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장인화 회장 "100년 기업으로 성장하는 포스코의 굳건한 버팀목 되길"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포스코)

포스코 포항제철소 4고로가 본격적인 재가동에 들어가며 4번째 생애를 시작했다.

포스코는 포항 4고로의 3차 개수 공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고로에 다시 불을 지피며 4대기 조업을 시작하는 화입식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 이시우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대표이사 사장, 정덕균 포스코DX 대표이사 사장 등 포스코그룹 임직원을 비롯해 이강덕 포항시장,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오늘은 4고로에 다시 새 생명을 불어넣은 뜻깊은 날”이라며 “4고로가 생산성·원가·품질 경쟁력을 갖춰 100년 기업으로 성장하는 포스코의 굳건한 버팀목이 되어 주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포항 4고로는 1981년 2월 준공돼 가동을 시작한 이후 1994년과 2010년 두 차례의 개수를 거쳐 안정적으로 조업을 이어왔다. 2010년 2차 개수를 통해 내용적(고로 내부 부피)이 3795㎥에서 5600㎥로 확대됐고, 현재까지 누적 약 1억5000만 톤(t)의 쇳물을 생산했다.

3차 개수는 2010년 이후 약 14년의 3대기 조업이 끝내고 진행됐다. 내용적은 같지만 노후화된 설비 신예화와 스마트 고로 시스템 적용 등에 초점을 맞췄다.

먼저 고로 철피 두께를 확대해 내구성과 안정성을 강화하고, 고로 냉각 방식을 개선해 설비 효율을 높였다. 또한 딥러닝을 통해 고로가 스스로 조업 결과를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고로 시스템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포항 4고로 3차 개수 공사에는 쇳물 생산을 중단한 4개월을 포함해 총 1년 4개월이 소요됐다. 해당 기간 약 5300억 원의 투자비와 연인원 약 38만 명의 인력이 투입되는 등 지역 고용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포스코는 제철소의 핵심인 고로의 성공적 재가동을 통해 철강 본원 경쟁력을 더욱 굳건히 하는 한편, 생산성 향상, 기술 개발, 디지털 전환 등을 통해 제철소 전반에서 초격차 제조 경쟁력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93,000
    • +1.01%
    • 이더리움
    • 4,767,000
    • +0%
    • 비트코인 캐시
    • 536,500
    • -1.38%
    • 리플
    • 667
    • +0.45%
    • 솔라나
    • 198,000
    • +0.2%
    • 에이다
    • 544
    • -0.37%
    • 이오스
    • 798
    • -3.86%
    • 트론
    • 177
    • +1.72%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00
    • -0.8%
    • 체인링크
    • 19,160
    • -2.1%
    • 샌드박스
    • 460
    • -3.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