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랩스, 반지로 혈압 관리 ‘카트 비피’ 출시…본격 시장 공략

입력 2024-06-27 14:22 수정 2024-06-27 14: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병환 대표 “효과적 혈압 관리‧맞춤형 치료 가능”

▲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는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카트 비피(CAR BP)’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카트 비피로 고혈압 환자를 돕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는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카트 비피(CAR BP)’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카트 비피로 고혈압 환자를 돕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전국 모든 병·의원에서 환자가 카트 비피를 통해 혈압을 검사하고 이를 통해 고혈압 환자들의 혈압 조절을 돕고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병환 스카이랩스 대표는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카트 비피(CAR BP)’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스카이랩스가 개발한 스마트 반지인 카트 비피는 지난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은 반지형 혈압계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의료행위 수가를 인정받으면서 보험급여가 적용돼 병·의원에서 처방할 수 있게 됐다.

카트 비피는 기존 팔 압박형 측정 방식이 아닌 반지형 커프리스 연속혈압측정기다. 바이오센서인 광혈류측정센서(PPG)가 혈류량을 측정하고, 수집된 혈압 데이터를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전송‧축적한다.

인공지능(AI)이 데이터를 분석해 24시간 연속 혈압 측정과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시간대별 다양한 혈압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운동, 음주, 혈압약 복용에 따른 반응 등 생활 습관 개선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스카이랩스가 출시한 스마트 반지 '카트 비피' (이상민 기자 imfactor@)
▲스카이랩스가 출시한 스마트 반지 '카트 비피' (이상민 기자 imfactor@)

회사 측은 카트 비피가 24시간 혈압을 측정할 수 있고 기존 24시간 연속혈압측정기(APBM)의 문제였던 이동과 수면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정 혈압관리의 효과적인 혈압계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자들은 의료진의 필요에 따라 24시간 혈압측정을 처방받은 후 24시간 동안 카트 비피를 착용하면, 병·의원에서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된 카트 비피를 통해 측정되고,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24시간의 혈압 변동을 알 수 있다.

이희진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고혈압이 흔함에도 혈압을 측정할 때마다 달라 의료진이 고혈압 진단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 기존 ABPM은 고가에다 커프를 팔에 감고 있어 불편했지만, 카트 비피는 환자들의 불편함 없이 24시간 동안 정확한 혈압 측정이 가능하고,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카트 비피가 기존 스마트 반지와 다른 점은 임상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다. 그동안 다양한 연구를 통해 ABPM과 유사한 혈압값을 보이며 임상적 유효성이 입증됐다.

▲박선희 스카이랩스 사업본부 상무이사는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카트 비피(CAR BP)’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제품 소개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박선희 스카이랩스 사업본부 상무이사는 27일 서울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카트 비피(CAR BP)’ 출시 기자간담회에서 제품 소개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박선희 스카이랩스 사업본부 상무이사는 “우리 제품은 다른 웰니스 제품과 달리 의료기기다. 증명된 임상 논문을 바탕으로 식약처 허가를 받고 심평원 수가를 받았다”며 “기존 고혈압 치료에서 미흡했던 부분에 대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 데이터를 축적해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카이랩스는 단기적으로 국내 시장에 안착하고, 장기적으로는 해외시장 진출이 목표다. 연말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카트 비피 제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박 상무는 “우선 국내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하고,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올해 유럽, 내년 미국에서 허가를 획득하는 것이 목표”라고 제시했다.

이 대표는 “카트 비피의 보험적용은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헬스케어 산업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실용화가 되는 첫걸음”이라며 “향후 카트 비피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가 축적되고, AI를 통한 빅데이터 분석이 이뤄진다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혈압관리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대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842,000
    • +1.11%
    • 이더리움
    • 4,763,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1.19%
    • 리플
    • 667
    • -0.3%
    • 솔라나
    • 199,200
    • +0%
    • 에이다
    • 546
    • -1.62%
    • 이오스
    • 802
    • -4.64%
    • 트론
    • 178
    • +2.3%
    • 스텔라루멘
    • 127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950
    • -1.27%
    • 체인링크
    • 19,240
    • -3.12%
    • 샌드박스
    • 460
    • -4.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