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내수는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 올해 5월까지 재ㅎ소비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민간 소비를 지탱했던 서비스업마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다 보니 내수 부진이 국내총생산(GDP) 성장세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5월 재화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지수(불변)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3% 줄었다.
1~5월 기준으로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1% 감소한 뒤로 1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이다.
소매판매는 최근 2년 중 4개월을 뺀 20개월간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서는 2월(0.8%)을 제외하고, 1월과 3∼5월 모두 내리막이다.
내수의 한 축인 서비스업도 예전만 못하다. 올해 1∼5월 서비스 소비를 뜻하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보다 2.1% 늘었다.
증가세는 유지했지만 증가 폭은 2020년(-2.2%) 이후 가장 작다. 서비스업은 대표적인 생활 업종으로 꼽히는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에서 특히 부진한 모습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은 작년 5∼12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매달 감소한 데 이어 올해도 1월(0.2%)을 뺀 나머지 2∼5월 모두 줄었다.
도소매업 역시 작년 4월 이후 단 2개월만 뺀 나머지 12개월간 매달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설비투자도 작년 5∼12월 내리 감소한 데 이어 올해도 2월부터 4개월째 줄고 있다. 올해 3월 10.2% 줄어든 건설기성은 4월 3.1% 반등했지만 5월 다시 감소세로 전환됐다.
작년 12월부터 반년째 "경기 회복의 온기를 내수로 확산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와 달리 내수가 요지부동인 셈이다.
내수 부진 지속에 올해 7월 발표될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의 '조정' 폭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2분기 실질 GDP는 올해 1분기 '깜작 성장'(1.3%·잠정치)으로 이미 그에 상응하는 기계적 조정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4월이 괜찮았기 때문에 5월만 가지고 역성장 가능성을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6월 갑자기 나빠지면 역성장도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1분기 GDP 성장률이 유난히 높았고 2분기에는 조정돼 0% 정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세수 결손으로 빠듯해진 재정 상황은 올해 GDP를 더 옥죌 수 있는 요인이다.
올해 초 이미 재정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하반기 더 이상의 적극적인 재정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2년째 세수 결손이 확실시되면서 대규모 불용 가능성마저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