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H3 로켓 3호기 발사 성공…지구 관측위성 예정 궤도에 올라

입력 2024-07-01 15: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월 2호기 이어 또 다시 성공
2025년부터 기존 H2A 임무 대체 예정
‘관측 폭 기존 4배’ 다이치 4호도 궤도 안착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1일 H3 3호기가 발사되고 있다. 가고시마(일본)/EPA연합뉴스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1일 H3 3호기가 발사되고 있다. 가고시마(일본)/EPA연합뉴스
일본의 차세대 주력 로켓인 H3 3호기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일본 우주 수송 실용화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커졌다.

1일 NHK방송에 따르면 H3 3호기는 낮 12시 6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발사로부터 약 17분 후 H3가 싣고 갔던 지구 관측위성 다이치 4호가 예정 궤도에 투입된 것이 확인됐다.

H3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미쓰비시중공업이 공동 개발한 차세대 로켓으로, 현재 주력 로켓으로 이용 중인 H2A의 후계 로켓이다. H2A는 올해 50호기를 끝으로 발사가 중단되며, 2025년부터 H3가 모든 임무를 이어받을 예정이다.

일본은 지난해 HS 1호기를 처음으로 발사했지만, 실패했다. 당시 로켓에 실렸던 다이치 3호가 분실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2월 2호기 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이번 3호기 발사도 성공했다. 2호기 발사 당시 모형 위성을 탑재했던 터라 실제 지구 관측위성을 태우고 성공한 것은 3호기가 처음이다. 일본 당국은 올해 남은 기간 한 번 더 H3를 발사하고 내년 6회를 포함해 2032년까지 최소 22회 발사할 계획이다.

요미우리신문은 “H3는 앞으로 20년 정도 일본 우주 수송의 핵심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2월에 이어 이번 발사 성공으로 실용화에 크게 다가갔다”고 전했다.

한편 궤도에 오른 다이치 4호는 JAXA와 미쓰비시전기가 320억 엔(약 2746억 원)을 들여 개발한 지구 관측위성으로, 한 번에 관측할 수 있는 지표의 폭이 현재 운용 중인 다이치 2호보다 최대 4배 많은 200km로 알려졌다. 관측 빈도도 5배 늘어나 재해 발생 시 피해 상황을 더 빠르게 파악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다이치 2호의 경우 1월 노토 반도 지진 당시 지각 변동 분석에 활용됐지만, 관측 지역이 한정돼 모든 지역을 한 번에 보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고 NHK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97,000
    • +5.34%
    • 이더리움
    • 4,440,000
    • +2.14%
    • 비트코인 캐시
    • 731,500
    • +18.17%
    • 리플
    • 1,567
    • -0.19%
    • 솔라나
    • 338,900
    • +1.77%
    • 에이다
    • 1,107
    • -4.24%
    • 이오스
    • 916
    • +1.66%
    • 트론
    • 280
    • +0.72%
    • 스텔라루멘
    • 335
    • -4.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2,500
    • +6.88%
    • 체인링크
    • 20,620
    • +0.29%
    • 샌드박스
    • 478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