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청년들이 가장 많이 취업시험을 준비하는 분야는 일반기업체로 나타났다. 2006년 관련 조사 이래 줄곧 취업시험 준비 1순위이었던 일반직 공무원이 일반기업체에 처음으로 역전 당한 것이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는 56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6만9000명 줄었다. 전년대비 3년 연속 감소세다.
취업시험 준비 분야로는 일반기업체가 29.7%로 가장 많았다. 전년보다 2.4%포인트(p) 늘었다. 일반 공무원이 23.2%로 뒤를 이었다. 전년보다는 6.1%p 감소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6년 이래 올해 처음으로 남녀 모두 취업시험 준비 분야 1위가 일반공무원에서 일반기업체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2006년 첫 조사 당시만 해도 일반공무원 시험 비중이 40.7%에 달했다. 18년 새 17.8%p나 줄어든 것이다. 상대적으로 일반 기업 대비 적은 임금과 과도한 업무량 등이 공무원 선호도 추락 요인으로 꼽힌다.
올해 5월 기준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청년층이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11.5개월으로 조사됐다. 작년보다 1.1개월 늘어난 것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후 역대 가장 긴 기간이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고졸 이하가 1년 2.8개월에서 1년 5.6개월로 2.8개월 늘었다. 대졸 이상도 8.2개월에서 8.3개월로 늘었다.
첫 취업에 성공하는 데 걸린 기간이 늘어난 것은 취업 준비뿐만 아니라 진학 준비 활동이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고졸자는 대학을, 대졸자는 로스쿨 등의 대학원을 준비하다가 결국 취업 전선에 뛰어들었다는 의미다.
첫 일자리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월 200만 원~300만 원 미만(35.2%), 150만 원~200만원 미만(33.1%), 100만 원~150만 원 미만(13.0%), 50만 원~100만 원 미만(9.5%), 50만 원 미만(3.7%) 순이었다. 청년 10명 중 6명 정도 첫 직장에서 200만 원 미만의 월급을 받고 있는 셈이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5.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임시적‧계절적인 일의 완료‧계약기간 끝남(15.6%), 건강, 육아, 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15.3%) 순이었다.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임금금로자)은 1년 7.2개월로 전년대비 0.6개월 증가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임금근로자는 66.8%로 전년과 유사했다.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1년 2.8개월로 0.4개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