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후보자 "공영방송은 편향성 논란의 중심…공영성 회복할 것"

입력 2024-07-24 10: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실에서 열린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했다.  (이은주 기자 letswin@)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실에서 열린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했다. (이은주 기자 letswin@)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공영방송은 사실에 입각한 객관적 보도라는 평가를 받기보다는 편향성 논란의 중심에 서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전체회의실에서 열린 후보자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언론이 사회적 공기로서 본연의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공정한 방송프로그램이 제작될 수 있는 체계를 정립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공영방송은 이름에 걸맞게 역할을 재정립해 공영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과거 지상파 중심 시대에 설계된 낡은 방송 규제는 과감히 혁파하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방송 등 신·구 미디어가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자는 MBC 기자 경력을 내세우며 적격자임을 주장했다. 그는 “저는 방송기자로 시작해 한 방송사의 수장을 거치며, 30년 넘게 방송분야에 헌신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쟁의 실상을 국민들에게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취재현장을 누비는 것은 물론, 동료·후배 기자들이 언론인으로서의 소명을 다 할 수 있도록 맡은바 소임을 다했다”고 말했다.

▲24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이진숙 후보자의 퇴임을 주장하는 언론단체 측의 시위가 벌어졌다. (이은주 기자 letswin@)
▲24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이진숙 후보자의 퇴임을 주장하는 언론단체 측의 시위가 벌어졌다. (이은주 기자 letswin@)

이날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이진숙 후보자의 퇴임을 주장하는 언론단체 측의 시위가 벌어졌다. 이들은 “이진숙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자체를 받아들일 수가 없다”며 “방송통신위원회의 독립성을 지킬 수 있는 사람도 아니거니와 2008년부터 MBC 사찰 프로그램에 대한 방치, 세월호 오보 사태, 이밖에도 MBC 민영화하려고 했던 사람으로서 방송통신위원회를 맡을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증인으로 출석했던 김재철 전 MBC 사장에게 “무슨 자격으로 청문회에 왔느냐”며 충돌이 빚어지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트럼프 “2주 안에 의약품 관세 발표”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푹 쉬었는데 더 피곤”…연휴 증후군 극복하려면 [e건강~쏙]
  • [투자전략] 연금 투자 기본, 적립식 장기투자와 자산 배분
  • 정부, 올 들어 ‘한은 마통’ 71조 빌려 ‘역대 최대’
  • 뉴욕증시, 숨 고르기…다우 0.24%↓
  • '제61회 백상예술대상', 영화 '하얼빈' 홍경표 감독·'흑백요리사' 대상 영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700,000
    • +0.08%
    • 이더리움
    • 2,572,000
    • +0.19%
    • 비트코인 캐시
    • 506,000
    • -0.49%
    • 리플
    • 3,013
    • -2.24%
    • 솔라나
    • 206,100
    • -0.24%
    • 에이다
    • 940
    • -2.49%
    • 이오스
    • 1,004
    • -0.5%
    • 트론
    • 353
    • -0.84%
    • 스텔라루멘
    • 366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200
    • -0.19%
    • 체인링크
    • 19,320
    • -3.06%
    • 샌드박스
    • 392
    • -1.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