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수준 낮으면 코로나19 사망률·치명률 더 높아

입력 2024-07-30 08: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 건보공단 빅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교수 (사진제공=분당서울대병원)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교수 (사진제공=분당서울대병원)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과 사망 위험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 남현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격차를 조사하고 입원과 사망의 위험 요인을 식별하는 연구 결과 이같이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 Health)’에 게재된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의료급여 대상자는 소득이 더 높은 군보다 코로나19 발생률은 낮았으나 입원율, 사망률, 치명률은 더 높았다. 이런 차이는 유행 후반기로 갈수록 커졌다. 의료급여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국가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다.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5198만4158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진행됐다. 연구팀은 정부의 방역정책 변화에 따라 △1시기(2020년 1월 1일-2021년 2월 28일) △2시기(2021년 3월 1일-2021년 10월 31일) △3시기(2021년 11월 1일-2022년 5월 31일) △4시기(2022년 6월 1일-2022년 12월 31일)로 나눴으며 시기별 코로나19 발생률, 입원율, 사망률, 치명률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총 2110만5865명(40.6%, 10만 명당 4만601명)이 1회 이상 감염됐으며, 대부분 3시기(10만 명당 2만4457명)와 4시기(10만 명당 1만7529명)에 발생했다. 사망은 총 5만4638명(0.11%, 10만 명당 105명), 치명률은 10만 명당 259명이었다. 사망률은 3시기에 10만 명당 65명, 4시기에 10만 명당 35명으로 후반 시기에 높았으나, 치명률은 1시기에 10만 명당 1800명, 2시기에 10만 명당 593명으로 전반 시기에 더 높았다.

의료급여 대상자와 건강보험가입자를 비교한 결과, 코로나19의 발생률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다소 낮았으나 입원율 약 2.6배, 사망률 약 4.7배, 치명률 약 5.8배 더 높았다. 후반 시기로 갈수록 그 격차는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기간 의료급여 대상자의 코로나19 발생률은 10만 명당 3만2737명으로 평균보다 낮았다. 다만 1시기에 평균 10만 명당 186명 발생한 것에 반해 의료급여 대상자는 10만 명당 328명으로 해당 시기의 발생률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다소 높았다. 입원율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평균보다 높은 수치인 10만 명당 5663명을 기록했으며, 3시기에 10만 명당 3628명으로 가장 많았다. 사망률은 의료급여 수급자가 10만 명당 498명으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특히 3시기에 10만 명당 335명으로 평균을 웃돌았다. 치명률도 의료급여 수급자가 10만 명당 1521명으로 평균보다 크게 높았으며 1시기에 10만 명당 5374명으로 평균과 현격한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여건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사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했다. 분석 결과 입원 및 사망 위험도는 낮은 경제적 수준, 장애가 있는 경우, 동반질환이 많은 경우, 남성, 노인, 서울 및 광역시 외 비수도권 거주자에서 높았으며, 예방접종을 한 경우 낮게 나타났다.

의료급여 대상자가 건강보험가입자 대비 입원 위험도는 2.55배 높았으며 장애가 있으면 1.85배 더 높았다. 예방접종은 입원 위험도를 0.4배로 낮췄다. 사망 위험도는 의료급여 대상자가 1.92배, 장애가 있을 때 위험도는 1.65배 더 높게 나타났다.

교신저자인 이진용 교수는 “이 연구는 그동안 단편적으로 분석된 우리나라의 코로나19의 건강 영향을 망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며 “앞으로 여러 보건학적 위기상황이 있을 때, 코로나19 시기의 교훈을 바탕으로 더 좋은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논문 1저자인 이혜진 교수는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모든 소득수준에서 코로나19의 낮은 치명률을 유지했지만, 세부적으로는 저소득층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더 코로나19에 취약했고 대유행이 진행함에 따라 격차가 커졌다”라며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취약계층이 건강 불평등을 겪지 않도록 대응전략 및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30,000
    • +3.67%
    • 이더리움
    • 4,680,000
    • +8.58%
    • 비트코인 캐시
    • 674,000
    • +9.77%
    • 리플
    • 1,663
    • +8.91%
    • 솔라나
    • 360,500
    • +9.84%
    • 에이다
    • 1,108
    • -1.25%
    • 이오스
    • 916
    • +4.93%
    • 트론
    • 279
    • +1.82%
    • 스텔라루멘
    • 345
    • -0.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600
    • -1.7%
    • 체인링크
    • 20,890
    • +3.57%
    • 샌드박스
    • 480
    • +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