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중소 M&A, “정책 자금 지원·절차 간소화” 목소리 [피벗과 M&A]③

입력 2024-08-16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업들이 빼곡히 들어선 서울 도심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기업들이 빼곡히 들어선 서울 도심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국내 중소형 인수·합병( M&A) 시장의 기상도는 장마철 날씨만큼 먹구름이 낀 상태다. 시장 전문가들은 침체한 M&A 시장을 깨우기 위해서는 ‘펀드 자금 출자 확대를 위한 정책 자금 지원’, ‘M&A 시 필요한 각종 신고 절차의 간소화’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15일 미국벤처캐피털협회(NVCA)에 따르면 지난해 VC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 중 상장(IPO)을 통해 엑시트(투자금 회수) 한 사례가 40건(5%), M&A를 선택한 사례가 695건(95%)으로 M&A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반면, 한국벤처캐피털협회에 따르면 한국은 상장이 62건(42%), M&A가 86건(58%)으로 비중이 작다. 강신형 충남대 경영학부 교수가 101명의 스타트업 창업자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창업자 중 91%가 M&A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경수 삼일회계법인 M&A센터장은 “M&A와 관련한 정책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한국성장금융의 기업구조혁신펀드, 혁신성장펀드, 기타 중소·중견기업 M&A를 위한 펀드의 자금 출자가 확대되면 M&A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문호준 광장 변호사는 “M&A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업결합신고, 국가핵심기술 수출 승인·보고 기타 국가 기관에 보고하거나 신고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며 “가급적 간소화 하고 이슈가 없는 경우 신속히 처리될 수 있게 되면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타트업 M&A 활성화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있다. 강신형 교수는 지난달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기업혁신을 위한 스타트업 M&A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한국 M&A 시장이 현재보다 2배 이상 커지지 않으면 (자금 회수에) 크게 문제가 될 수 있고, 벤처 ‘붐’이 아니라 ‘둠(doom, 파멸·종말)’이 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기업, 해외기업의 경우 기술·인력 확보 및 시장점유력 확대를 위한 동종산업 M&A에 집중하는 반면, 중견기업의 경우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찾기 위한 이종산업 M&A에도 적극적”이라며 “중견기업이 스타트업 M&A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확대 등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549,000
    • -2.01%
    • 이더리움
    • 2,501,000
    • -2.84%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77%
    • 리플
    • 3,074
    • -6.59%
    • 솔라나
    • 210,700
    • -3.75%
    • 에이다
    • 972
    • -4.14%
    • 이오스
    • 919
    • -4.57%
    • 트론
    • 350
    • -1.13%
    • 스텔라루멘
    • 373
    • -4.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950
    • -3.35%
    • 체인링크
    • 20,530
    • -4.2%
    • 샌드박스
    • 410
    • -4.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