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사상 첫 원전 신설 추진…아프리카도 원전 붐

입력 2024-08-23 11: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34년까지 1000메가와트 규모 설립 목표
이달 미-아프리카 핵에너지 정상회의 주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케냐가 2034년까지 사상 첫 상업 발전용 원전 건설을 추진한다고 AFP통신이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케냐의 무살리아 무다바디 총리는 이날 1000메가와트(MW) 규모의 상업 원자력 발전소를 2034년까지 인도양 연안에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건설비용은 39억 달러(약 5조2000억 원)로 예상된다.

이는 케냐가 이달 27~30일 나흘간 열리는 제2회 미국-아프리카 핵에너지 정상회담 주최를 준비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무다바디 총리는 이로 인해 케냐의 에너지 발전 용량 증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이 있을 것으로 설명했다.

그는 “케냐는 청정에너지 분야를 선도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면서 “케냐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략의 일환으로 핵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케냐는 수력ㆍ풍력ㆍ태양광 등 에너지원의 약 90%를 재생에너지에서 조달하고 있다.

앞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아프리카 노력의 최전선에 선 케냐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조달 비율을 100%까지 늘릴 잠재력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케냐는 이달 27~30일 나흘간 열리는 제2회 미국-아프리카 핵에너지 정상회의를 주최한다. 관련 홈페이지 캡처
▲케냐는 이달 27~30일 나흘간 열리는 제2회 미국-아프리카 핵에너지 정상회의를 주최한다. 관련 홈페이지 캡처

케냐가 올해 주최하는 제2회 미국-아프리카 에너지 정상회의도 아프리카의 핵 에너지 준비 상태에 초점을 맞춰 다룬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현재 아프리카에서 유일하게 원전을 운용하는 국가로, 30년 이상된 2개의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다. 또 추가로 이르면 2032년 가동을 목표로 2500㎿급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아프리카 르완다는 작년에 캐나다-독일 스타트업과 실험적인 원자로 건설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 감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달 초에는 미국 회사와 소형모듈원전(SMR)을 건설하기 위한 계약을 공개하기도 했다.

케냐의 원전 건설 계획에 대한 반대 여론이 있다. 케냐 반핵 연합은 올 초 “국민의 생명과 생계를 위험에 빠뜨리는 핵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대신 정부가 더 안전하고 깨끗하며 지속 가능한 재생 에너지원에 투자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19,000
    • +1.94%
    • 이더리움
    • 2,672,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442,600
    • +0.98%
    • 리플
    • 3,137
    • +4.74%
    • 솔라나
    • 179,700
    • +5.83%
    • 에이다
    • 974
    • +4.06%
    • 이오스
    • 1,186
    • -1.25%
    • 트론
    • 354
    • +0.85%
    • 스텔라루멘
    • 383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50
    • +1.75%
    • 체인링크
    • 19,000
    • +2.04%
    • 샌드박스
    • 389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