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은행들 잇따라 중국 경제성장률 하향…“5% 어렵다”

입력 2024-08-29 16: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UBS, JP모건, 노무라 등 하향
애널리스트 74명 중 51명이 "5% 하회" 전망
부동산 침체가 가장 큰 이유
몸 사리는 중국 정부도 지적 대상

▲중국 상하이에서 1일 시민들이 길을 걷고 있다. 상하이(중국)/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상하이에서 1일 시민들이 길을 걷고 있다. 상하이(중국)/로이터연합뉴스
연초 중국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로 지난해와 같은 ‘5% 안팎’을 제시했다. 실제 1분기 5.3%를 기록해 기대에 부응하는가 싶었지만, 2분기 4.7%로 떨어지며 우려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들이 잇따라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하고 나섰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UBS그룹은 올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종전 4.9%에서 4.6%로 하향했다. 내년 전망치도 4.6%에서 4%로 낮췄다.

UBS는 중국 정부가 2022년 말부터 부동산 시장을 되살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모기지) 금리 인하와 매매 제한 완화 등 여러 조치를 펼쳤지만, 실행이 더뎠고 영향도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왕타오 UBS 이코노미스트는 보고서에서 “부동산 약세가 가계 소비를 포함한 전체 경제에 예상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계 소득 증가가 약해지면서 시장 신뢰가 낮다”며 “부동산 재고 수준은 높은데 재고 정리 실행은 느렸다”고 지적했다.

앞서 JP모건체이스와 노무라도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이 5%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두 은행 각각 4.6%, 4.5%로 하향했다.

또 블룸버그가 집계한 74명의 애널리스트 가운데 51명이 올해 성장률이 5%를 밑돌 것으로 예측했다. 알파인매크로의 왕얀 투자전략가는 “중국 정부의 5% 목표는 달성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며 “향후 ‘느린 붕괴’에 대한 잠재적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책 입안자들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일관된 전략이 부족하다”며 “조각 단위의 조치조차 임시방편이고 당국이 주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신규 주택 매매 증감 추이. 단위 %. 기준 전년 대비. 7월 -19.7%. 출처 블룸버그
▲중국 신규 주택 매매 증감 추이. 단위 %. 기준 전년 대비. 7월 -19.7%. 출처 블룸버그
중국 경제 발목을 잡는 부동산 침체는 회복 조짐을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7월 신규 주택 매매는 전년 동월 대비 20% 가까이 감소했고 마찬가지로 신규 주택 착공도 20% 줄었다. 여파에 최근 2년간 일자리, 소비, 가계 자산 등 모든 것이 침체한 상태다. 주식시장에선 CSI300지수가 올해만 4.2% 하락했고 별다른 이변이 없다면 전례 없는 4년 연속 연간 하락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아시아증시가 거의 10% 상승한 것과 대조적이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는 올해 더 강력한 재정 조치로 대응하겠다고 했지만, 공공지출 측정치는 첫 7개월간 수축했다”며 “중국 경제학자들 사이에선 당국이 더 많은 돈을 차입할 수 있도록 올해 재정적자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모든 방송 활동 중단, 더본코리아 경영에 집중”
  • 버핏 빈자리 메울까…에이블의 버크셔에 쏠린 눈
  • [르포]‘갓 수확·갓 착즙·갓 배송을 원칙으로’…풀무원녹즙 도안공장[녹즙의 재발견]
  • 韓 의약품에 美 관세?…정부 “공급망 안정 기여, 관세조치 불필요”
  • 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빨리 끝내야”
  • 관세 공포·요동치는 환율…아시아 증시서 발 빼는 개미들
  • 세종 아파트, 전세도 '들썩'…"공급 가뭄에 오를 수밖에"
  • 국힘 대선후보 단일화 격랑…金 "후보 일정 중단", 韓 "실패하면 국민 배신"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33,000
    • -0.19%
    • 이더리움
    • 2,512,000
    • -2.71%
    • 비트코인 캐시
    • 502,500
    • +0.2%
    • 리플
    • 3,006
    • -0.92%
    • 솔라나
    • 204,100
    • -2.25%
    • 에이다
    • 931
    • -1.17%
    • 이오스
    • 947
    • -6.7%
    • 트론
    • 347
    • -1.7%
    • 스텔라루멘
    • 364
    • -0.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680
    • -6.44%
    • 체인링크
    • 18,970
    • -2.22%
    • 샌드박스
    • 372
    • -5.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