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리스크로 건전성 악화…건설업 내수 부진도 영향"
내수 부진과 건설 업황 둔화 속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까지 덮치며 올해 상반기 주요 시중은행의 건설업 부실 대출 비율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산업들에 비해 월등히 나빴다.
9일 전국은행연합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상반기 말 건설업 총여신 28조6790억 원 가운데 고정이하여신이 4575억 원(1.60%)에 달했다.
전년 동기 총여신 24조1878억 원 중 고정이하여신이 2825억 원(1.17%)이었던 데 비해 1년 새 부실 채권 비율이 0.43%포인트(p)나 뛰었다.
은행별로 보면, 농협은행이 건설업 대출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해 상반기 말 1.96%에서 올해 상반기 말 2.35%로 급등해 5대 은행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국민은행은 1.58%에서 1.80%로, 우리은행은 0.26%에서 1.61%로 상승했다. 하나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1.13%에서 1.26%로, 0.70%에서 0.99% 등으로 올랐다.
특히 건설업 대출 건전성은 다른 산업들보다도 크게 악화됐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5대 은행의 전체 여신은 1008조1002억 원으로, 이 중 고정이하여신은 3조6878억 원(0.37%)으로 집계됐다.
제조업 대출은 285조2391억 원 가운데 9212억 원(0.32%), 도소매업 대출은 132조2964억원 중 5659억 원(0.43%), 숙박·음식업 대출은 41조583억 원에서 1767억 원(0.43%)이 각 고정이하여신으로 잡혔다.
부동산업 대출은 227조3426억 원 중 8534억 원(0.38%), 서비스업·기타 대출은 293조4848억 원 가운데 7131억 원(0.24%) 등이었다. 건설업을 제외한 각 업종의 부실 대출 비율이 모두 0.5%를 밑돈 것이다. 특히 제조업과 비교하면 약 5배 차이가 났다.
건설업 대출 건전성이 악화된 것은 건설업 내수 부진과 업황 둔화, 부동산 PF 부실이 영향을 미친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건설업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지난 1분기 5.5%를 기록했으나 2분기 -6.0%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1분기(-6.4%) 이후 무려 26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문제는 향후 상황도 좋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경제전망에서 “주거용·상업용 중심의 입주 물량 축소와 신규 착공 위축 영향으로 공사 물량 감소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