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전국 409개 응급실 중 2곳 제외 매일 24시간 운영 [종합]

입력 2024-09-13 15: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부, 연휴 응급의료체계 대책 시행…"중증도에 맞게 환자 분산"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응급실 운영 현황 등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응급실 운영 현황 등을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석 연휴 전국 409개 응급실 가운데 2곳을 제외한 모든 곳이 매일 24시간 운영한다.

정부는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 대책을 통해 의료기관별 사정에 적합하게 환자를 분산하도록 원활한 이송·전원체계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연휴 기간 전국 응급실 409곳 중 2곳을 뺀 총 407곳이 매일 24시간 운영한다고 밝혔다.

연휴기간 운영을 하지 않는 병원은 건국대충주병원과 명주병원이다.

건국대충주병원은 추석 연휴 기간인 9월 14∼18일 응급실을 운영하지 않는다.

복지부는 건국대충주병원을 대신해 충주의료원과 제천·청주·원주 등 인근 지역에서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명주병원은 최근 비상진료상황과는 무관하게 병원 경영 사정으로 인해 응급실 운영을 중단한다.

복지부는 증상이 가벼울 경우 동네 병의원이나 가까운 중소병원 응급실을 이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정윤순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중소병원 응급실의 진찰 결과에 따라 중증이라고 판단되면 큰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셔도 된다"며 "이 경우 의료비 부담은 평소와 같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긴급히 응급 대처를 해야 하는 큰 병이라고 생각되면 즉시 119에 신고해달라"며 "119는 중증도에 적합한 병원으로 환자를 바로 이송할 것"이라고 했다.

추석 연휴 기간 문 여는 의료기관은 하루 평균 7931곳이다.

연휴 첫날인 14일에는 2만7766곳이 운영하고 △15일 3009곳 △16일 3254곳 △17일 1785곳 △18일 3840곳이 진료한다.

1622곳의 병의원이 문을 연 올해 설 당일과 비교하면 올해 추석 당일 문 여는 병의원은 약 10% 늘어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마의 7년'도 훌쩍…'10주년' 찍고 또 다른 '전성기' 노리는 그룹은? [엔터로그]
  • 단독 임병선 SPC 대표, 6개월 만에 사임...‘허영인 리더십’ 흔들
  •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30대 징역 1년 6개월·20대 징역 1년
  • 최다 폐업률 구간 '1~3년'…자영업 생존, 얼마나 버틸까 [데이터클립]
  • 가입기준 확대된 '청년내일저축계좌', 누가 언제까지 가입 가능할까 [경제한줌]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87,000
    • -0.12%
    • 이더리움
    • 3,692,000
    • +4.83%
    • 비트코인 캐시
    • 572,500
    • +1.24%
    • 리플
    • 3,672
    • +3.12%
    • 솔라나
    • 254,600
    • +4.17%
    • 에이다
    • 1,158
    • +3.21%
    • 이오스
    • 1,181
    • -2.8%
    • 트론
    • 385
    • +3.22%
    • 스텔라루멘
    • 440
    • +1.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600
    • +0.45%
    • 체인링크
    • 24,070
    • +2.91%
    • 샌드박스
    • 506
    • +3.05%
* 24시간 변동률 기준